본문바로가기
발음
[따라가다발음 듣기]
활용
따라가[따라가발음 듣기], 따라가니[따라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뒤에서, 그가 가는 대로 가다.
형의 뒤를 따라가다.
병아리가 어미 닭을 따라간다.
개 한 마리가 주인을 따라가고 있다.
네가 가는 곳이면 어디든지 따라가겠다.
영애는 인도하는 종을 따라가는데 몸은 한 줌밖에 안 되고 다리는 천 근이나 되게 무거웠다.≪한용운, 흑풍≫
만화는 마지막으로 한 번만 병태를 보고 싶어, 짐을 옮길 때 어머니를 따라가려고 했으나, 어머니가 펄쩍 뛰면서 욕을 퍼부어 댔다.≪문순태, 피아골≫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와가다(16세기~18세기)>라가다(17세기~18세기)>라가다(18세기~19세기)>라가다(18세기~19세기)>따라가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따라가다’의 옛말인 ‘와가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와가다’는 “따르다”의 의미인 ‘오-’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한 ‘와’와 ‘가다’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가 소멸하면서 ‘오-’의 제1음절 종성이 연철 표기 되면서 ‘로다’로 나타나고 ‘로다’가 연결 어미 ‘-아’와 결합할 때 반모음이 탈락되면서 17세기에는 ‘라가다’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는 ‘라가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 ‘라가다’로 나타난다. 19세기에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따라가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와가다’는 ‘와가다’의 ‘ㅳ’을 ‘ㅼ’으로 표기한 것이다. 18세기의 ‘아가다’는 ‘라가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고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근대 국어 시기에 ‘ㆍ’와 ‘ㅏ’를 혼동한 표기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19세기의 ‘가다’와 ‘가다’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19세기의 ‘라가다’도 ‘따라가다’의 제1음절 ‘ㅏ’를 ‘ㆍ’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이들과 같다.
이형태/이표기 와가다, 라가다, 와가다, 라가다, 라가다, 아가다, 가다, 가다, 라가다, 따라가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와가다)
덕쟝이  와가니1518 이륜-옥 22ㄱ
17세기 : (와가다, 라가다, 와가다)
네  므서 위여 와가디 아니다 ≪1677 박언 하:38ㄴ-39ㄱ
유여히 라가디 못 쟉시면 그저 야 멀리 가 므 리오 ≪1677 박언 하:39ㄴ
내 날회여 대가 와가마1677 박언 중:12ㄴ
18세기 : (라가다, 라가다, 와가다, 아가다, 와가다, 라가다)
이에 만이 라가 그 郭을 나 墦塚이에 가 ≪1737 여사 4:48ㄴ
뎜 사이 졍 등을 라가 칼을 혀보니 ≪1758 종덕 하:35ㄴ
나 隨後여 날회여 駕를 와가마1765 박신 2:21ㄴ
그 적의 關公이 술의 아가 삼십 니 되도록 뵈지 아니니 ≪1774 삼역 2:15ㄴ
게 당한 응 긔 다 아모 방위로 향고 각 군 긔 와가라1787 병학 10ㄴ
네  벗으로 여 나 라가 졔 가 稅 밧치고 ≪1795 노언-중 하:17ㄴ
19세기 : (라가다, 라가다, 가다, 가다, 라가다, 따라가다)
공이 그 이즌 쥴을 알고 라가되1852 태상 1:16ㄴ
이에 라가 그 거 바 디방지 니지라 ≪1865 주년 13ㄱ
가다 追去 ≪1880 한불 467
가다 隨去 ≪1880 한불 461
태셔 각국의셔 져마다 리 잇 바의 라가기 밋 시 니 ≪1883 이언 1:20ㄴ
따라가다 隨去 ≪1895 국한 7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