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따라가다

- 활용
- 따라가[따라가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뒤에서, 그가 가는 대로 가다.
- 형의 뒤를 따라가다.
- 병아리가 어미 닭을 따라간다.
- 개 한 마리가 주인을 따라가고 있다.
- 네가 가는 곳이면 어디든지 따라가겠다.
- 영애는 인도하는 종을 따라가는데 몸은 한 줌밖에 안 되고 다리는 천 근이나 되게 무거웠다.≪한용운, 흑풍≫
- 만화는 마지막으로 한 번만 병태를 보고 싶어, 짐을 옮길 때 어머니를 따라가려고 했으나, 어머니가 펄쩍 뛰면서 욕을 퍼부어 댔다.≪문순태, 피아골≫
역사 정보
와가다(16세기~18세기)>라가다(17세기~18세기)>라가다(18세기~19세기)>라가다(18세기~19세기)>따라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따라가다’의 옛말인 ‘와가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와가다’는 “따르다”의 의미인 ‘오-’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한 ‘와’와 ‘가다’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가 소멸하면서 ‘오-’의 제1음절 종성이 연철 표기 되면서 ‘로다’로 나타나고 ‘로다’가 연결 어미 ‘-아’와 결합할 때 반모음이 탈락되면서 17세기에는 ‘라가다’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는 ‘라가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 ‘라가다’로 나타난다. 19세기에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따라가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와가다’는 ‘와가다’의 ‘ㅳ’을 ‘ㅼ’으로 표기한 것이다. 18세기의 ‘아가다’는 ‘라가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고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근대 국어 시기에 ‘ㆍ’와 ‘ㅏ’를 혼동한 표기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19세기의 ‘가다’와 ‘가다’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19세기의 ‘라가다’도 ‘따라가다’의 제1음절 ‘ㅏ’를 ‘ㆍ’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이들과 같다. |
---|---|
이형태/이표기 | 와가다, 라가다, 와가다, 라가다, 라가다, 아가다, 가다, 가다, 라가다, 따라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