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떨ː따

- 활용
- 떫어[떨ː버




- 품사
- 「형용사」
- 「001」설익은 감의 맛처럼 거세고 텁텁한 맛이 있다.
- 감이 덜 익어 떫다.
- 풋감이지만 진영 특산의 단감이므로 지금 먹어도 떫지가 않다면서, 조 씨는 감 한 알을 현구의 손에 쥐어 주기까지 했다.≪김원일, 노을≫
- 만화도 할머니가 엷은 초록색의 석유 병에 넣어 가지고 온 떫고 시큼하고 조금은 들척지근한 고로쇠 물을 몇 차례 마셔 본 일이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뚧다(강원, 충북), 뜳다(강원, 충청), 틃다(강원), 찌이다(경남), 떱다(경상), 턻다(경상, 함북), 떠럽다(전남), 떠룹다(전남), 떨부다(전남), 떨붑다(전남), 띠럽다(전남), 띠룹다(전남), 떠릅다(전라), 뜨럽다(전라), 떨룹다(제주), 조락-지다(제주), 조락조락-하다(제주), 쪼랍다(제주), 초랍다(제주), 뜰부다(충북), 뻐데데-하다(평북)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8세기~19세기)>떫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떫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변화하는 ㅂ 불규칙 용언이었다. 15세기부터 ‘ㅸ’[β]이 소멸되어 [w]로 바뀜에 따라 ‘-’은 ‘우-’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는 ‘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떫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현재의 ‘떫다’가 규칙 용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18세기 이후 어느 시점에 ㅂ 불규칙 용언이었던 ‘다’ 혹은 ‘다’가 규칙 용언으로 변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문헌에서 구체적인 예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
---|---|
이형태/이표기 | -, -, 우-, 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떫기로 고욤 하나 못 먹으랴
- 다소 힘들다고 그만 일이야 못하겠느냐는 말.
- 속담떫은 배도 씹어 볼 만하다
- 시고 떫은 배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개살구도 맛 들일 탓’ ‘신 배도 맛 들일 탓’ ‘쓴 배[개살구/외]도 맛 들일 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