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을

- 품사
- 「명사」
- 「001」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고향 마을.
- 그들은 어릴 적부터 한 마을에 살아 잘 아는 사이다.
- 마을 앞쪽으로는 강이 흐르고 있다.
- 우리 동네는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
- 여인이 장승박이 마을 앞을 지날 때, 해는 서산에 걸쳐진 채 저녁놀이 온 천지를 새빨갛게 물들이고….≪김동리, 바위≫
- 마을 사람들은 이 노송을 학 나무라고 불렀다.≪이범선, 학마을 사람들≫
- 언덕 아랜 읍하듯 엎드린 초가 마을, 이엉을 갈지 못하고 회갈색으로 변한 지붕이 눈에 띄고 마을 길을 달려가는 아이들 모습을 볼 수가 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15세기~17세기)>(16세기~19세기)/(16세기~19세기)>읋(17세기~19세기)/을(18세기)>마을(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을01’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 ‘/’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그러나 이미 15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탈락한 ‘’ 형태 역시 나타나는데, 일반적인 ㅎ종성체언은 조사 ‘-과’와 결합할 때 ‘-콰’로 나타나지만, ‘’의 경우는 끝소리 ㄹ을 지닌 다른 단어들이 그러하듯 ‘와’로 나타나는 것이 그 증거이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는 18세기까지도 끝소리 ㅎ을 지닌 형태가 여전히 나타났다. 16세기 이래로 ㅿ이 사라짐에 따라 ‘/’은 ‘/’로 변화하였다. 17세기에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등에서 드물게 ㅿ이 유지된 ‘’의 예가 보이나 이는 중세 시기 문헌의 영향을 받은 문헌 자체의 특성 때문일 뿐 실제로 ㅿ 소리가 이 시기에 남아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16세기 이래로 두 번째 음절 이하에서 ‘ㆍ’가 ‘ㅡ’로 바뀌는 변화에 따라 ‘, ’이 ‘읋, 을’로 변화하였다. 또한 18세기 이래로 첫 번째 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오늘날과 같은 ‘마을’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 , , 읋, 을, 마을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