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디

- 품사
- 「명사」
- 「001」대, 갈대, 나무 따위의 줄기에서 가지나 잎이 나는 부분. 잘록하거나 도드라져 있다.
- 마디 사이가 긴 대나무.
- 대나무 마디가 터질 때마다 요란한 소리를 냈다. 그러면 그 폭죽의 소리에 놀라서 잡귀가 달아난다는 것이다.≪임동권, 끈 떨어진 뒤웅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마도(강원), 마두(강원, 경기, 경상), 매도(강원), 매두(강원, 경북, 전남), 매둥가리(강원), 매등가리(강원, 충북), 매디(강원, 경기, 충북, 함남), 매지(강원), 마두(경기), 마등이(경기), 매듭(경기, 전남), 고마리(경남), 머디(경남), 마대이(경북), 마등가리(경북), 마딩-개이(경북), 매당개히(경북), 매둥개이(경북), 마데(경상, 전라), 모디(경상, 전남), 자리(경상, 전남), 마듭(전남), 매답(전남), 매둡(전남), 메두(전남), 매도미(전북), 마딩이(충남), 매동가지(충북), 매딩갱이(평북), 매데(평안, 중국 요령성), 매디비(함남)
-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듸(17세기~18세기)>마듸(19세기)>마디(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디’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는 ‘듸’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마듸’가 나타난다.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마디’도 나타났는데, 이는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한편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는 “경우”의 의미를 지닌 ‘>듸>마듸’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 듸, 마듸, 마디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마디에 공이 닿아
- 아끼는 곳에 더욱 상하기 쉬운 흠이 있음을 이르는 말.
- 속담마디에 옹이
- 어려운 일이 공교롭게 계속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기침에 재채기’ ‘고비에 인삼’ ‘눈 위에 서리 친다’ ‘얼어 죽고 데어 죽는다’ ‘옹이에 마디’ ‘하품에 딸꾹질’ ‘하품에 폐기’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