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읍쪼리다

- 활용
- 읊조리어[읍쪼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뜻을 음미하면서 낮은 목소리로 시를 읊다.
- 그는 읊조리듯 조용조용 말하였다.
- 그는 취흥에 겨워서 우리가 어릴 때 멋모르고 부르던 노래를 읊조렸다.≪현진건, 고향≫
관련 어휘
- 옛말
- 입주리다
역사 정보
입주리다(15세기~17세기)>읍주리다(17세기)>읇쥬어리다(18세기)>읊조리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읊조리다’의 옛말인 ‘입주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입주리다’는 ‘읊다’의 옛말인 동사 ‘잎-’과 동사 ‘주리-’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인데, ‘주리-’의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동사 ‘잎다’는 16세기에 모음 ‘ㅣ’가 ‘ㅡ’로 변하여 ‘읖다’가 된 이후 17세기에 어간말 자음 ‘ㅍ’ 앞에 ‘ㄹ’이 첨가되어 ‘읊-’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따라서 ‘입주리다’의 경우에도 16세기에 제1음절 모음 ‘ㅣ’가 ‘ㅡ’로 변한 ‘읍주리다’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 자료에서는 17세기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8세기 문헌에 나타난 ‘읇쥬어리다’를 통해 ‘읍주리다’의 경우도 ‘ㅍ’ 앞에 ‘ㄹ’이 첨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문헌상으로 확인되지는 않으나 18세기에 ‘*읇주리다’ 형태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근대국어 후기에 ‘*읇주리다’의 제2음절의 음성모음 ‘ㅜ’가 양성모음 ‘ㅗ’로 변하여 ‘*읇조리다’가 되고, 현대 국어에서는 원형을 밝혀 적는 원칙에 따라 ‘읊조리다’로 표기하게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입주리다, 읍주리다, 읍쥬어리다, 읇쥬어리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