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옫꼬름

- 품사
- 「명사」
- 「001」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깃 끝과 그 맞은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옷고름을 달다.
- 옷고름을 매다.
- 옷고름이 풀어졌다.
- 백정들은 여자나 남자나 동정을 못 달게 되어 있고, 옷고름도 넓고 긴 옷고름은 못 달게 되어 있으며….≪송기숙, 녹두 장군≫
- 아내는 옷고름 끝으로 눈물을 찍어 내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그런 의미에 있어서 한국의 옷고름과 치맛자락은 하나의 날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어느덧 현은 할아버지가 말없이 옷고름에 매어 주고 가는 동전 냄새를 그리워하도록 자랐다.≪선우휘, 불꽃≫
- 부안댁은 말꼬리를 흐리며 옷고름을 가져다 눈자위를 눌렀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고름
- 지역어(방언)
- 옷-고롬(경기, 경상, 전라, 평안,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옷-구룸(경기, 경상, 전라, 충청,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옷-고럼(경북), 옷-고림(경북), 옷-고룸(경상, 전라), 옷-구럼(경상, 전남), 옷-구름(경상, 전남), 옷-그름(경상, 전남), 옷-가람(전남), 옷-가룸(전남), 옷-고람(전남), 옷-구락(전남), 옷-구람(전남), 옷-구롬(전남), 옷-그람(전남), 옷-거름(전라, 충청), 옷구룸-짝(전라), 고홈(제주), 골롬(제주), 골홈(제주), 곰(제주), 옷-골롬(제주), 옷-골름(제주), 옷-골홈(제주), 옷-곰(제주), 옷-고래기(충북), 저골-고롬(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옷-고홈
역사 정보
옫골홈(17세기)>옷고롬(19세기)>옷고름(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옷고름’의 옛말인 ‘올골홈’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옷골홈’은 “옷”을 뜻하는 ‘옷’과 “고름”을 뜻하는 ‘골홈’이 결합된 것이다. 17세기에 보이는 ‘옫골홈’의 ‘옫’은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음절 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의 역작용으로서 원래의 ‘ㅅ’을 ‘ㄷ’으로 과도 교정하여 나타난 표기이다. 19세기에 보이는 ‘옷고롬’은 ‘ㄹ’ 뒤에서 ‘ㅎ’이 탈락되어 나타난 것이다. 19세기 문헌에 ‘고름 襻’(1880 한불 193)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옷고롬’도 ‘옷고름’으로 바뀔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옫골홈, 옷고롬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