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여쁘다

- 활용
- 어여뻐[어여뻐


- 품사
- 「형용사」
- 「001」‘예쁘다’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 작은아씨는 마음이 어여쁘다.
- 문을 열고 들어오는 사람은 어여쁜 미인 두 사람이었다.
- 고른 숨을 내쉬며 깊이 잠들어 있는 그 아이의 얼굴은 참으로 소줏빛으로 투명하게 맑고 어여뻐서, 이 세상의 번뇌는 한 가지도 지니고 있지 않은 듯했다.≪김성동, 먼 산≫
역사 정보
어엿브다(15세기~19세기)>어여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여쁘다’의 옛말인 ‘어엿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국어에서 ‘어엿브다’는 “불쌍하다, 가련하다”의 의미를 지녔는데, 근대국어 이후로 이 의미와 함께 “아름답다, 사랑스럽다”의 의미로도 쓰이다가 현대 국어에서는 “아름답다”의 의미만 남게 되었다. 16~19세기 문헌에는 ‘에엿브다’의 예도 보이는데, 이는 제2음절의 이중모음 ‘ㅕ’[yə]에서 반모음 ‘ㅣ’[y]가 앞 음절로 옮겨 가 ‘ㅓ’가 이중모음 ‘ㅔ’[əy]가 된 것으로 실제 발음상으로는 ‘어엿브다’와 차이가 없었다. 18, 19세기 문헌에는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모음화함에 따라 ‘어엿부다, 에엿부다’의 예도 보이나 이 형태가 현대 국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엿브다’는 제2음절의 종성 ‘ㅅ’의 영향으로 제3음절의 초성 ‘ㅂ’이 된소리가 되어 현대 국어와 같은 ‘어여쁘다’로 변화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어엿브다, 어엿다, 에엿브다, 어엳브다, 에엿부다, 에엿다, 어엿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