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세ː차다

- 활용
- 세차[세ː차

- 품사
- 「형용사」
- 「001」기세나 형세 따위가 힘 있고 억세다.
- 세찬 바람.
- 물결이 세차다.
- 불길이 세차다.
- 문을 세차게 닫다.
- 세차게 머리를 흔들다.
- 대문을 세차게 두드리다.
- 그는 친구가 잡은 손을 세차게 뿌리치고 돌아섰다.
- 구름 한 점 없이 날씨는 맑았으나 들바람이 세찼다.≪김원일, 불의 제전≫
- 달현이 통사정을 하듯이 말을 하면서 그의 어깨와 등을 걷어 밀었다. 밀어 대는 기세가 거칠고 세찼다.≪한승원, 해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세다(18세기)>세차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세차다’의 옛말인 ‘세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18세기 문헌에서 용례가 확인되는 ‘세다’는 아직 이러한 변화가 표기에 반영되지 않았다. 19세기에는‘셰차다’의 용례도 보이는데 이중 모음을 가지고 있던 많은 단어들이 단모음으로 바뀌면서 원래 단모음이던 단어들이 이중 모음으로 표기되는 현상에 해당한다. |
---|---|
이형태/이표기 | 세다, 셰차다, 세차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