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상여

- 품사
- 「명사」
- 「001」사람의 시체를 실어서 묘지까지 나르는 도구. 10여 명이 메며 길이가 길고 꼭지 있는 가마와 비슷하게 생겼다.
- 상여를 메다.
- 석림이는 그때 상옷을 입고 상장을 짚고 홀로 모친의 상여 뒤를 따라갔다.≪이기영, 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사여(강원), 상에(강원, 전라), 새이(경남), 상예(경북, 제주, 평북), 생우(경북), 생이(경상, 전라, 제주), 상거(전남), 상구(전남), 생기(전남), 생에(전라, 충남), 저승-가매(전라), 생여(전북, 충청, 함북), 말캣-낭(제주), 상기(제주), 상뒤(제주, 함경), 생예(제주), 행에(충북), 행여(行輿)(충북), 새우(평북, 함경), 새예(함북)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5)
- 속담상여 나갈 때 귀청 내 달란다
- 상여가 나가는데 귀지를 후벼 달라고 한다는 뜻으로, 매우 바쁘고 어수선한 때 그와 상관도 없는 엉뚱한 일을 해 달라고 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상여 뒤에 약방문
- 사람이 죽은 다음에야 약을 구한다는 뜻으로, 때가 지나 일이 다 틀어진 후에야 뒤늦게 대책을 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사후 약방문[청심환]’ ‘성복 뒤에 약방문[약 공론]’ ‘성복제 지내는데 약 공론 한다’ ‘죽은 다음에 청심환’ ‘죽은 뒤에 약방문’
- 속담상여 메고 가다가 귀청 후빈다
- 일을 끝까지 성실하게 하지 않고 도중에 엉뚱한 데 정신을 팖을 핀잔하는 말.
- 속담상여 메는 사람이나 가마 메는 사람이나
- 상여를 메나 가마를 메나 메는 사람이라는 점에서는 매한가지라는 뜻으로, 조금씩 차이는 있더라도 결국은 비슷비슷한 사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상여엣 장사 같다
- 상여꾼처럼 풍신이 보잘것없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