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시똘


- 품사
- 「명사」
- 「001」부시로 쳐서 불을 일으키는 데 쓰는 석영(石英)의 하나. 아주 단단하고 회색, 갈색, 검은색 따위를 띤다.
- 부싯돌을 쳐서 불을 붙이다.
- 부싯돌로 불을 댕기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부숫-돌(강원, 경북, 전라, 충남, 평북, 중국 요령성), 쌤지-돌(강원), 앳-돌(강원), 채-돌(경기), 부샛-돌(경남, 전남, 충북), 부쌧-돌(경남), 부쎗-돌(경남), 부쐐-돌(경남, 중국 흑룡강성), 부우-돌(경남), 부잇-돌(경남), 부짓-돌(경남), 석-돌(경남), 푸샛-돌(경남), 풋-돌(경남), 불-돌(경북), 불-쇠(경북), 붓-돌(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부셋-돌(전남), 부쇳-독(전남), 부쇳-돌(전남), 부시-독(전남), 부칫-돌(전남), 불-독(전남), 산-독(전남), 산-돌(전남), 싯-돌(전남), 부숫-독(전라), 부싯-독(전라, 충남), 부수-독(전북), 부-돌(제주), 부쉣-돌(제주), 부수-돌(평북, 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부쇳-돌
역사 정보
부쇳돌(17세기)>부쇠ㅅ돌(18세기)>부시돌(19세기)>부싯돌(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싯돌’의 옛말인 ‘부쇳돌’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불쇠’와 ‘돌’의 합성어이며, ‘불쇠’는 다시 ‘불’과 ‘쇠’의 합성어이다. ‘불’의 15세기 어형은 ‘블’인데 원순 모음화 되어 ‘불’이 된 이후 합성어의 구성 요소로 참가할 때에는 ‘ㄹ’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쇠’도 그런 예들 중의 하나이다. ‘부쇠’의 ‘쇠’는 ‘시’로 변화하였는데 이것은 19세기에 일반화되는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에 따른 결과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부쇳돌, 부쇠ㅅ돌, 부쇠돌, 부시돌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