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릅뜨다발음 듣기]
활용
부릅떠[부릅떠발음 듣기], 부릅뜨니[부릅뜨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주로 ‘눈’과 함께 쓰여)) 무섭고 사납게 눈을 크게 뜨다.
눈을 부릅뜨고 노려보다.
욱하는 성질을 가라앉히지 못한 양 서방이 짊어졌던 지게를 내팽개치면서 눈을 부릅떴다.≪한수산, 유민≫
만수가 주먹을 불끈 쥐며 험상궂게 눈을 부릅뜬 것은 바로 그 순간이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역사 정보

브르다(15세기~17세기)>브다(17세기)/브르다(17세기)>브릅다(18세기)>부릅다(18세기~19세기)>부릅뜨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릅뜨다’의 옛말인 ‘브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브르다’는 동사 ‘브르-’와 ‘-’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17세기에 제3음절의 초성인 어두자음군 ‘ㅳ’의 ‘ㅂ’이 제2음절의 종성이 된 ‘브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어두자음군 ‘ㅳ’에서 ‘ㅂ’이 탈락하고 ‘ㄷ’의 된소리로 바뀐 ‘브르다’ 형태도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이 두 가지 변화가 모두 적용된 ‘브릅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또한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 현상에 따라 ‘브릅다>부릅다’의 변화가 일어났다. 19세기에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한 ‘부릅뜨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브르다, 브다, 브르다, 브릅다, 부다, 부릅다, 부릅뜨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브르다)
브르 太子 보더니 ≪1459 월석 22:42ㄴ
獅子ㅣ며 버미며 일히 외야 눈 브르고 구세 디르고 어르 므로려 커늘 ≪1459 월석 20:115ㄱ
16세기 : (브르다)
病이 耳目애 잇닌 눈섭 의며 눈 브르며 귀 기우리며 머리 조모로 禪 삼고 ≪1569 선가 59ㄴ
17세기 : (브르다, 브다, 브르다)
各各  무리식 눈을 브르고 性命을 려 各各 막대를 가지며 ≪1677 박언 하:48ㄴ
大仙이 두 눈을 브고 닐오 ≪1677 박언 하:19ㄴ
입시울이 프르고 눈이 브르면 간경이 귿미오 ≪17세기 마경 상:34ㄴ
18세기 : (브릅다, 부다, 부릅다)
비록 몽듕에도 사이 혹 공동면 내 쟝 눈을 브릅고 라 소 크게 야 쳑리니 ≪1761 경문 21ㄱ
존외 눈을 부고 둔을 지니 둔이 황망히 상에 린 ≪1797 오륜 충:77ㄴ
고경이 눈을 부릅고 지저 오 ≪1797 오륜 충:29ㄴ
19세기 : (부릅다, 부릅뜨다)
부릅다 瞠 ≪1880 한불 344
크게 셩내여 눈을 부릅뜨고 좌우에 안 이 도라보며 ≪1892 성직 40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