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릅뜨다

- 활용
- 부릅떠[부릅떠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주로 ‘눈’과 함께 쓰여)) 무섭고 사납게 눈을 크게 뜨다.
- 눈을 부릅뜨고 노려보다.
- 욱하는 성질을 가라앉히지 못한 양 서방이 짊어졌던 지게를 내팽개치면서 눈을 부릅떴다.≪한수산, 유민≫
- 만수가 주먹을 불끈 쥐며 험상궂게 눈을 부릅뜬 것은 바로 그 순간이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부리씨다(경남), 불씨다(경남), 불끔-뜨다(전남), 부룸-뜨다(전라, 중국 길림성), 부름-뜨다(전라), 버르-뜨다(제주), 버릅-뜨다(제주), 버릅-트다(제주), 버립-뜨다(제주), 부르뜨다(제주, 평안, 함경), 부릅-트다(제주), 부르-띠다(평안), 부루-뜨다(함경, 중국 길림성), 부라-뜨비다(함남)
- 옛말
- 브르-다
역사 정보
브르다(15세기~17세기)>브다(17세기)/브르다(17세기)>브릅다(18세기)>부릅다(18세기~19세기)>부릅뜨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릅뜨다’의 옛말인 ‘브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브르다’는 동사 ‘브르-’와 ‘-’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17세기에 제3음절의 초성인 어두자음군 ‘ㅳ’의 ‘ㅂ’이 제2음절의 종성이 된 ‘브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어두자음군 ‘ㅳ’에서 ‘ㅂ’이 탈락하고 ‘ㄷ’의 된소리로 바뀐 ‘브르다’ 형태도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이 두 가지 변화가 모두 적용된 ‘브릅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또한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 현상에 따라 ‘브릅다>부릅다’의 변화가 일어났다. 19세기에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한 ‘부릅뜨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브르다, 브다, 브르다, 브릅다, 부다, 부릅다, 부릅뜨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