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몹ː쓸발음 듣기]
품사
「관형사」
「001」악독하고 고약한.
몹쓸 것.
몹쓸 곳.
몹쓸 놈.
몹쓸 말.
몹쓸 병.
몹쓸 사람.
몹쓸 짓.
나는 술에 취해 아이에게 몹쓸 소리를 마구 해 대고 말았다.
그런 몹쓸 버릇은 버려라.
몹쓸 놈, 한심한 놈 같으니라고.
몹쓸 고양이가 생선을 다 먹어 버렸다.
몹쓸 태풍이 우리 마을을 산산조각 냈다.

역사 정보

몯(16세기~17세기)>몹(16세기~19세기)>몹쓸(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몹쓸’의 옛말인 ‘몯’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몯’은 “못”의 의미인 ‘몯’과 “쓰다”의 의미인 ‘다’의 관형형 ‘’이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당시 ‘ㅄ’은 [ps]로 발음되는 어두 자음군이었으므로, 어중에 세 개의 자음이 올 수 없다는 제약에 따라 ‘몯’의 제1음절 종성 ‘ㄷ’이 탈락되고 제2음절 초성 ‘ㅄ’의 ‘ㅂ’이 제1음절 종성으로 되면서 16세기에 ‘몹’이 나타난다. 16세기의 ‘몹’의 제2음절 초성 ‘ㅄ’은 된소리 표기이다. 된소리 표기 ‘ㅄ’이 ‘ㅆ’으로 바뀌어 19세기에는 ‘몹쓸’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못’은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경향에 따라 ‘몯’의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18세기의 ‘몹슬’은 ‘몹’의 제2음절 초성을 된소리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며, ‘못슬’은 ‘못’의 제2음절 초성을 된소리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19세기의 ‘몹실’은 ‘몹슬’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ㅣ’로 변화한 것이다. 19세기의 ‘몹’은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ㆍ’와 ‘ㅡ’의 혼동 표기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에 따라 ‘몹슬’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ㆍ’에서 변화한 것으로 오해하여 나타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몯, 몹, 못, 못슬, 몹슬, 몹, 몹슬, 몹쓸, 몹실, 몹
세기별 용례
16세기 : (몯, 몹)
衆生 이 보 이 다 사오나온 몯 거시라 보니라 ≪1569 칠대 3ㄱ
어딘 이레 고 몹 일란 려 ≪1518 번소 6:8ㄴ
17세기 : (몯, 못)
세 여위니과 다 몯 을 분변 법이라 ≪17세기 마경 상:9ㄴ
派癩的 못 놈 胡癩的 못 놈 ≪1690 역해 상:28ㄴ
18세기 : (못, 몹슬, 못슬)
왕이 못 놈의게 졍 맛져 나라히 망게 되여시매 ≪1797 오륜 충:77ㄴ
간악고 몹슬 놈의 굴혈을 가히 려 칠 거시로되 ≪1776 효유 3ㄴ-4ㄱ
못슬 놈들이 만히 모혀드단 말이라 ≪1777 명의 2:73ㄱ
19세기 : (몹, 몹슬, 몹쓸, 몹실, 몹)
사이  번 몹 업을 곳치 즉시 도로혀 복을 밧앗시니 ≪1852 태상 5:44ㄱ
몹슬 셩신이 앙을 리워 ≪1852 태상 대문해:1ㄴ
이 몹쓸 음으로 사을 려 다가 ≪1852 태상 3:35ㄴ
몹실 놈 不用漢 ≪1895 국한 53
몹 즘이라 ≪1882 척사윤음 3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