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나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3」말하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주격 조사 ‘’나 보격 조사 ‘’가 붙으면 ‘’가 된다.
나의 소망.
나는 학생이다.
나와 그 친구는 사이가 참 좋다.
내가 나를 믿지 않으면 누가 나를 믿겠는가?
“언니 이제 그만해요. 괜찮아요."≪박경리, 토지≫
“그걸 알기 때문에 나는 그동안 많이 울었어요.”≪이상문, 황색인≫
나는 그때 교수 연구실에 앉아 빈 연구실을 지키고 있었다.≪최인호, 무서운 복수≫

역사 정보

나(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나’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로 나타나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다만, 15세기에 주격 조사가 결합하면 ‘내’, 관형격 조사가 결합한 형태도 ‘내’로 나타나 형태는 동일하였으나 성조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현대 국어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로’나 ‘와’가 결합했을 때이다. 15세기에는 ‘나’에 구격 조사 ‘로’가 결합하면 ‘날로’, 공동격 조사 ‘와’가 결합하면 ‘날와’로 나타나다가 근대 국어 시기에 ‘나로, 나와’로 실현되면서 현대 국어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나)
王이 놀라샤 讚嘆야 니샤 아리 天神 中에  尊니 ≪1447 석상 3:4ㄱ
나 늘거 마 無想天으로 가리니 ≪1447 석상 3:2ㄱ
그듸 날로 腹心 사마 뒷니 ≪1460년경 삼강-런던 충:17
16세기 : (나)
이 곧 몸 일워나 道를 야 후셰예 일홈 베퍼 내여 ≪1510년대 번박 상:50ㄴ
或 오 凶 사이라 니디 아니야도 곧 나 믿디 아니호리라 ≪1588 소언 5:29ㄱ
孟子ㅣ 일즉 날로 더브러 宋에 言야시 ≪1590 맹언 5:3ㄴ
17세기 : (나)
네 나히 한 니 엇디 슈례료 ≪1670 노언 상:57ㄴ
나 소임으로 왓거니와 처음이고 ≪1676 첩신-초 1:3ㄱ
형과 아과 누의과 아누의 날로 더브러 가지로 父母셔 나시니 긔운이 가지오 얼굴만 다니 ≪1658 경민-개 4ㄴ
18세기 : (나)
네 나를 위여 收拾기를 잘면 반시 만히 만히 네게 賞리라 ≪1765 박신 3:34ㄱ
나 소임으로 왇거니와 처음이고 그 외예 소 거시오니 ≪1748 첩신-개 1:4ㄱ
이 女子 날로 더브러 一面의 識이 업고 片時의 會ㅣ 업스며 ≪1721 오륜전비 7:39ㄱ
19세기 : (나)
이 왼고을 문장 과뎨에 관계 곳지라 엇지 로이 리오 고 ≪1867 남궁 14ㄱ
나 父親을 속이지 못니 이 眞實노 小子가 버혓이다  ≪1896 심상 3:9ㄱ
샹뎨게셔 죠셔샤 나로 야곰 젼당 일을 맛트라 샤 ≪1883 명성 15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