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엳따

- 활용
- 옅어[여터


- 품사
- 「형용사」
- 「004」빛깔이 보통의 정도보다 흐릿하다.
- 옅은 분홍.
- 옅은 화장기.
- 옅은 색으로 칠한 입술.
- 거실엔 피아노가 있었고 옅은 갈색과 우윳빛으로 구성된 바둑판무늬의 융단이 깔려 있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역사 정보
녙다(15세기~16세기)>옅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옅다’의 옛말인 ‘녙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녙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팔종성법에 따라 ‘녇-’으로 나타났다. 16세기에 반모음 ‘ㅣ’ 앞에서 ‘ㄴ’이 탈락한 ‘옅다’ 형태가 등장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근대국어 시기에는 종성의 ‘ㄷ, ㅌ’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어서 17~19세기 문헌에는 ‘옅-, 엳-’을 ‘엿-’으로 표기한 예가 나타나며, ‘엿ㅌ-’으로 중철 표기한 예도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녙-, 녇-, 옅-, 엳-, 엿-, 엿ㅌ-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