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루만지다

- 활용
- 어루만지어[어루만지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가볍게 쓰다듬어 만지다.
- 뺨을 어루만지다.
- 할머니는 손자의 아픈 배를 손으로 어루만졌다.
- 웅보는 안개에 휘감긴 참오동나무와 대추나무들을 마치 살아 있는 자식들의 머리를 쓰다듬듯 어루만져 보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어루-맨지다(강원), 어루-맨치다(강원), 어르-만지다(제주), 어름-쓸다(제주), 어름-씰다(제주), 어릅-쓸다(제주, 평안), 어릅-씰다(제주)
역사 정보
어르지다(16세기)>어루만지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루만지다’의 옛말인 ‘어르지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르지다’는 ‘어르’와 ‘지-’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 문헌에는 ‘어르지다’의 다양한 변화형이 나타난다. ‘어르’는 ‘어’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ㆍ’의 음가 소실로 제2음절 이하에서 ‘ㆍ’를 ‘ㅡ’로 표기하는 경향으로 인한 과도 교정의 예이다. ‘어로’, ‘어루’로 나타난 것은 부사 파생 접미사 ‘-오/우’가 결합된 다른 부사형에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18세기에 ‘ㆍ’가 제1음절에서 ‘ㅏ’로 변하였는데 ‘지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만지다’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를 겪어 형성된 ‘어루만지다’가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어르지다, 어르만지다, 어지다, 어지다, 어디다, 어로지다, 어로만지다, 어루만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