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살갑따발음 듣기]
활용
살가워[살가워발음 듣기], 살가우니[살가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집이나 세간 따위가 겉으로 보기보다는 속이 너르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슬겁다
지역어(방언)
실급다(전라), 살굽다(충남)

역사 정보

갑다(15세기~18세기)>살갑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살갑다’의 옛말인 ‘갑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변동으로 ‘ㆍ’에서 ‘ㅏ’로 변화하여 현재 어형 ‘살갑다’로 굳어진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갑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갑다)
朦憧 갑디 아니시오 ≪1482 남명 下:58ㄱ
16세기 : (갑다)
해 진실로 노 갑고 가올셔 ≪1510년대 번박 상:15ㄱ
17세기 : (갑다)
갑다1669 어록-개 7ㄱ
18세기 : (갑다)
穎悟 갑다1790 몽해 상:16ㄴ

관용구·속담(1)

속담살갑기는 평양 나막신
신기에 편안한 평양 나막신처럼 붙임성이 있고 사근사근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