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러러보다

- 활용
- 우러러보아[우러러보아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위를 향하여 쳐다보다.
- 산봉우리를 우러러보다.
- 푸른 하늘을 우러러보다.
- 고개를 좌우로 돌려 집과 집을 둘러싼 산을 휘둘러보고 고개를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고….≪선우휘, 망향≫
- 그날 밤 태영은 순이를 그의 산막으로 데려다 주고 돌아오는 길에 별빛 찬란한 하늘을 우러러보며 깊은 숨을 내쉬었다.≪이병주, 지리산≫
- 계월은 못마땅한 듯이 흥선을 우러러보았다. 우러러보다가 그의 상반신을 흥선의 무릎 위에 던졌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치다바-보다(경남), 울러려-보다(제주), 울러리다(제주)
역사 정보
울워러보다(15세기~17세기)>울어러보다(17세기~19세기)>우러러보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우러러보다’의 옛말 ‘울워러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울워러보다’는 “우러르다”의 뜻을 가진 ‘울월-’과 어미 ‘-어’, 동사 어간 ‘보-’가 결합된 것이다. ‘울워러보다’는 제2음절의 모음 ‘w’가 탈락되면서 ‘울어러보다’로 바뀐다. ‘울어러보다’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것이 ‘우러러보다’인데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울워러보다, 울워라보다, 울어러보다, 우러러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