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삼가다발음 듣기]
활용
삼가[삼가발음 듣기], 삼가니[삼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말을 삼가다.
어른 앞에서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아직까지는 그런 문제에까지 반감을 노출시키는 만용은 삼가는 게 좋을 것이며….≪김주영, 마군 우화≫
적어도 남에게 불쾌감을 주는 언행을 삼가면 될 것이다.≪강신항, 어느 가정의 예의범절≫

관련 어휘

비슷한말
각근-하다(恪謹하다)
지역어(방언)
삼개다(제주)

역사 정보

삼가다(15세기~현재)

설명 ‘삼가다’는 15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 문헌에서 ‘삼가다’가 나타나 20세기 문헌에까지 나타난다. 20세기에 ‘삼가다’와 ‘삼가다’가 쓰였으나 ‘삼가다’로 굳어져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삼가다, 삼가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삼가다)
 後ㅅ 부텻 기티논 긔걸이니 모로매 모다 삼가라1447 석상 23:13ㄱ
靑海ㅅ 녀글  삼가 말며 ≪1481 두시-초 5:13ㄱ
16세기 : (삼가다)
宗廟와 朝廷에 겨샤 便便히 言샤 오직 삼가더시다 ≪1590 논언 2:50ㄴ≫
17세기 : (삼가다)
 惠야 淑히 그 몸을 삼가고 先君을 思으로  寡人을 勖놋다 ≪1613 시언 2:6ㄱ
그듸 반기 剖析호 삼가니라1632 두시-중 7:27ㄱ
18세기 : (삼가다)
삼가기 스로 가져 날마다 몸소 보와 니고 ≪1758 종덕 중:19ㄱ
몸소 쳐든 좃니 삼가며 경계어다 ≪1737 어내 1:39ㄴ
19세기 : (삼가다, 삼가하다)
이러므로 평시에 삼가고 신밀 쟈 몃시을 쓰지 아니고 ≪1892 성직 6:24ㄱ
삼가할 근(謹) ≪1884 정몽 28ㄴ
삼가할 신(愼) ≪1884 정몽 2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