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목쏘리

- 품사
- 「명사」
- 「001」목구멍에서 나는 소리.
- 고운 목소리.
- 친구의 목소리를 흉내 내다.
- 그녀는 떨리는 목소리로 간신히 이야기를 꺼낸다.
- 어디선가 귀에 익은 목소리가 들려온다.
- 반장은 명훈의 목소리가 떨리기 시작한 첫날을 바로 짚었다.≪이문열, 변경≫
- 개동이는 칠복이 영감의 목소리가 너무 컸기 때문에 보초가 들을까 싶어 목소리를 낮추라는 시늉으로 손을 휘저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목-성(목聲)(전남)
역사 정보
목소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목소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목소리'는 '목'과 '소리'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부터 '소리'와 같은 의미인 '소'가 '소리'와 함께 쓰였는데, 16세기의 '목소'는 '목'과 '소'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ᆞ'가 'ᅳ'로 변화하였는데, 이 영향으로 19세기에는 '목소'의 제3음절 모음 'ᆡ'가 'ᅴ'로 나타난 '목소릐'가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목소리, 목소, 목소릐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목소리를 곤두세우다
- 신경질이 나서 목소리를 크게 하여 소리치다.
- 목소리를 곤두세우고 싸움을 하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