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시다발음 듣기]
활용
가시어[가시어발음 듣기/가시여발음 듣기](가셔[가셔]), 가시니[가시니]
품사
「동사」
「001」어떤 상태가 없어지거나 달라지다.
감기가 가시지 않은 목소리.
아픈 상처가 씻은 듯이 가셨다.
이제 소녀티가 가시고 제법 처녀티가 난다.
좀 전의 언짢았던 기분은 싹 어디론지 가시고 말았다.≪하근찬, 야호≫
밤사이 이 어둠이 가시기 전에 되도록 멀리 도망쳐 두어야 하는 것이다.≪유재용, 성역≫

역사 정보

가다(15세기~17세기)>가싀다(18세기~19세기)>가시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시다’의 옛말인 ‘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가다’의 제2음절의 이중모음 ‘ㆎ’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가싀다’가 되었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발음되는 경향에 따라 현대 국어의 ‘가시다’가 되었다.
한편 15세기~17세기 문헌에 나타난 ‘가다’는 주로 “없어지다, 달라지다, 변하다”의 의미로 쓰였고, 18세기 이후의 문헌에 나타난 ‘가싀다’는 대개 “깨끗이 씻다”의 의미로 쓰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참고로 중세국어 시기에 “깨끗이 씻다”의 의미로는 합성어인 ‘싯가다’가 주로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가다, 가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가다)
 낱  좌샤 히 여위신 金色잇 가시리여1447 월곡 23ㄱ
如  씨니 本來ㅅ  性이 가디 아니야 처 야 이실 씨오 ≪1459 월석 1:50ㄴ
바티 가요  改易 업스며 바와 뫼히 올모든 옮디 아니야 ≪1464 영가 하:78ㄴ
16세기 : (가다)
아 시절브터 늘고매 니히 아쳐티 아니며 가디 아니야 내과 처미 가짓 디면 ≪1518 번소 6:10ㄱ
 바곤잇 밥과  박 믈로 좁은  이심을 사이 그 근심을 이긔디 몯거늘 回ㅣ 그 즐거움을 가디 아니니 어디다 回여 ≪1588 소언 4:47ㄱ
17세기 : (가다)
비 올 젠 묏 비치 가디 아니더니 개요 니 峽이 새로온 도다 ≪1632 두시-중 12:37ㄱ
18세기 : (가싀다)
그릇 가싀다 滌器 그릇 부싀다 ≪1748 동해 하:16ㄱ
洗淨 가싀다 用布擦抹 질 다 ≪1790 몽해-보 25ㄴ≫
와 기름을 서 가싀고  물노 텨 서 가싀라 ≪1792 무원 1:28ㄱ≫
19세기 : (가싀다)
가싀다 洗滌 ≪1880 한불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