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뜨다

- 활용
- 떠[떠


- 품사
- 「동사」
- 「008」물기 있는 물체가 자체에서 생기는 더운 기운으로 썩기 시작하다.
- 퇴비가 뜨다.
- 뒤뜰에 쌓아 놓은 시금치는 사 온 지 오래됐는지 누렇게 떠 있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부프르다(전남), 떠다(전북, 제주, 충북)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6세기)>뜨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뜨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19세기 문헌에 이 단어의 예가 등장하지 않아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근대국어 시기 어두자음군이 사라지면서 ‘ㅳ’에서 ‘ㅂ’이 탈락하고 ‘ㄷ’의 된소리로 변하여 ‘*다’ 또는 ‘뜨다’ 형태가 등장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국어에서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뜨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