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늗추다발음 듣기]
활용
늦추어[늗추어발음 듣기](늦춰[늗춰발음 듣기]), 늦추니[늗추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을 …으로】
「001」정해진 때보다 지나게 하다. ‘늦다’의 사동사.
납입 기한을 늦추다.
등교 시간을 늦추어 주다.
책의 완성을 다음 달로 늦추게 되었다.
출발 시간을 9시에서 10시로 늦추다.

역사 정보

느치다(15세기~17세기)>느추다(16세기~17세기)/느초다(16세기~18세기)>늣추다(16세기~19세기)>늦추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늦추다'의 옛말인 '느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느치다'는 '늦-'에 사동 접미사 '-히-'가 결합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이후에는 '늦-'에 사동 접미사 '-호-'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느초다'와 사동접미사 '-후-'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느추다'가 나타난다. 같은 16세기에 '느추다'를 중철 표기 한 '늣추다'도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늣'의 원래 형태를 밝혀 적은 '늦추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느치다, 느추다, 느초다, 늣추다, 늣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느치다)
宮女로 놀라샤미 宮監 다시언마 問罪江都 느치리가1447 용가 17
16세기 : (느추다, 느초다, 늣추다)
오 느추고 마함 벗기고 ≪1510년대 번노 상:39ㄴ
법 셴 을 샹고야 혀 되오며 느초면 이 可히 졍홈이 사의 뒤헤 잇디 아니리라 ≪1588 소언 5:32ㄴ
원이 法을 늣추워 趙娥 노코져 더니 ≪1514 속삼 효:3ㄱ
17세기 : (느치다, 느추다)
 酒觴로 시름 왼 미 딘 호 爲야 느치노라1632 두시-중 15:39ㄱ
도적이 그 마 미더 느추워 ≪1617 동신속 열3:40ㄴ≫
18세기 : (느초다, 늣초다, 늣추다)
을 오랑을 느초고 기르마 아직 벗기지 말라 ≪1765 청노 5:1ㄴ
이 을 다 짐 부리오고 오랑 늣초고 마함 벗기고 ≪1790 몽노 3:2ㄴ
혹 규즁의 관계거든 져기 늣추어 그치고 ≪1796 경신 70ㄱ
19세기 : (늣추다)
나 아 늣추어 주쇼셔 다 갑흐리이다 ≪1892 성직 7:96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