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른발음 듣기]
품사
「관형사」
「001」오른쪽을 이를 때 쓰는 말.
오른 다리.
오른 무릎.
오른 손가락.
아버지가 오른 주먹으로 퍽 하고 아들의 왼쪽 어깨를 갈겼다.≪이범선, 몸 전체로≫
오른 손등은 깨물렸는지 살점이 뚝 떨어져 나가고 그저 피가 줄줄 흐른다.≪염상섭, 삼대≫
좌골신경통(左骨神經痛)의 경험도 경험이려니와 수일 전(數日前) 다친 오른 발목으로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이숭녕, 대학가의 파수병≫
그들은 아직은 경직이 오지 않은 혜장의 유해를 일으켜 합장 자세로 결가부좌(結跏趺坐)하여 앉게 하고 오른 어깨에서부터 가사를 걸었다.≪한무숙, 만남≫

관련 어휘

비슷한말
바른
반대말
지역어(방언)
오린(전남), 나단(제주)

역사 정보

올(15세기~19세기)>오른(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른’의 옛말인 ‘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올’은 “옳다”와 “오른쪽”이라는 뜻을 가진 ‘올-’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된 것이다.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올’과 함께 ‘올흔’이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올’도 이 변화를 겪어 ‘올흔’이 되었을 것이다. ‘올흔’은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되어 ‘오른’이 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올, 올흔, 오른, 오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
右脇은 올 녀비라 ≪1459 월석 2:17ㄴ
올 무룹 러 ≪1459 월석 13:3ㄴ
16세기 : ((올))
남지 올 녀그로 가 ≪1518 번소 3:19ㄴ
17세기 : ((올, 올흔))
地道 올 녁로 尊홈을 삼으니 ≪1632 가언 7:21ㄱ
도적이 혀와 올흔 을 버히고 ≪1617 동신속 효8:23ㄴ≫
18세기 : ((올, 올흔))
안 올 편銘에 오 ≪1737 어내 1:21ㄴ
올흔 주먹으로 앏흘  번 티고 ≪1790 무예 64ㄱ
19세기 : ((올, 올흔, 오른, 오룬))
올 녁흐로 가고 ≪1832 십구 1:30ㄴ
올흔 녁흐로 가고져 거든 ≪1832 십구 1:30ㄴ
하나님의 오른 켠에 안저시고 ≪1887 성전 히브리서 10:12
면양은 오룬 켠에 두고 ≪1887 성전 마태복음 25:3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바른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오른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