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벼르다

- 활용
- 별러[별러


- 품사/문형
- 「동사」 【…을】【-려고】【-고】
- 「001」어떤 일을 이루려고 마음속으로 준비를 단단히 하고 기회를 엿보다.
- 결전을 벼르다.
- 복수를 벼르다.
- 일전을 벼르다.
- 그는 영감 대신에 아직 들어오지도 않은 며느리를 벌써부터 벼르고 있었다.≪이기영, 신개지≫
- 차 그릇 뚜껑에 가득 따른 술잔을 무슨 쓴 약이나 벼르듯 하다가 그 번지레한 얼굴에 통 주름살을 그으며 마시었다.≪최명익, 장삼이사≫
- 혼내 주려고 벼르던 참에 너 잘 만났다.
- 무언가 서두르는 기색으로 보아 진작부터 하려고 벼르던 말을 드디어 쏟아 놓을 작정인 것 같았다.≪이문열, 변경≫
- 마음이 약해지기 전에 동일에게 전화를 하겠다고 벼르고 또 별렀으면서도 석이네는 걸어 다닐 곳도 없는 거리를 몇 번을 오르락내리락했다.≪한수산, 부초≫
- 내년 겨울엔 어떡하든 푹신한 햇솜이불을 꾸며 줘야겠다고 벼르다가 얼굴을 붉혔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행준은 반드시 뺨 맞은 값을 하고야 말리라고 별렀다.≪손창섭, 낙서족≫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벼다(15세기)>벼로다,별오다(18세기)>벼르다(19세기)
설명 | 현대 국어 ‘벼르다’의 옛말인 ‘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8세기에 ‘벼로다, 별오다’의 형태로도 쓰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벼다, 별오다, 벼르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벼르던 아기 눈이 먼다
- 모처럼 태어난 아기가 눈이 먼다는 뜻으로, 몹시 기대하던 일이 이루어졌으나 뜻밖에도 탈이 생겨났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벼르던 제사 물도 못 떠 놓는다
- 제삿날이 닥쳤는데 한 사발의 물도 제대로 떠 놓지 못하고 지내게 되었다는 뜻으로, 잘하려고 기대한 일일수록 도리어 더 못하게 되는 수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