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밤ː송이

- 품사
- 「명사」
- 「001」밤알을 싸고 있는 두꺼운 겉껍데기. 가시가 많이 돋쳐 있고 밤이 여물면 네 갈래로 벌어져 밤알이 떨어진다.
- 밤송이 가시에 찔리다.
- 밤송이를 까다.
- 흔들지도 않은 밤나무 가지에서 남은 밤송이가 저 혼자 아람이 벌어져 떨어져 내렸다.≪황순원, 학≫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율방(栗房)
- 지역어(방언)
- 밤-꼬셍이(강원), 밤-꼬쇠이(강원), 밤-셍이(강원), 밤-소이(강원, 경북), 밤-송가리(강원), 밤-쇵이(경기, 경상, 평안), 밤-싱이(경남), 빰-소이(경남), 빰-송이(경남), 밤-수이(경북), 밤-시이(경북), 빰-쉬(경북), 빰-슁이(경북), 밤-까시(경상, 중국 흑룡강성), 밤-송아리(전남, 충청), 밤-숭어리(전남), 밤-슁이(전라), 밤-각지(제주), 밤-쑹어리(충남), 밤-쑹이(충남), 밤-꼬새이(충북), 밤-새이(충북), 밤-송치(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밤-쉐(함남, 중국 흑룡강성), 밤-쇠이(황해)
- 옛말
- 밤-소
역사 정보
밤소(15세기)>밤송이(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밤송이’의 옛말인 ‘밤소’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밤’과 ‘송이’의 합성어인데 ‘밤송이’의 용례는 19세기에 처음 보이지만 ‘송이’의 옛말인 ‘소’가 15세기에도 많이 쓰였고, ‘송이’도 명사로서 16세기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자료상의 문제로 ‘밤송이’가 19세기 용례로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16세기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밤소, 밤송이, 밤숑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2)
- 속담밤송이 우엉 송이 다 끼어 보았다
- 가시가 난 밤송이나 갈퀴 모양으로 굽은 우엉의 꽃송이에도 끼어 보았다는 뜻으로, 별의별 뼈아프고 고생스러운 일은 다 겪어 보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밤송이채로 먹을 사람
- 성미가 몹시 급하고 덤비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