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다까


- 품사
- 「명사」
- 「001」바닷물과 땅이 서로 닿은 곳이나 그 근처.
- 흰 물결이 밀려오는 바닷가.
- 바닷가로 여름휴가를 떠났다.
- 수영을 하러 바닷가로 나갔다.
- 뱃고동 소리를 듣고 싶어 했고, 바닷가에 정박한 큰 배를 보고 싶어 했다.≪김원일, 노을≫
- 우리는 백사장을 걸어서 인가가 보이지 않는 바닷가의 바위 위에 앉았다.≪김승옥, 무진 기행≫
- 원균은 다부진 몸을 돌려 이순신의 집무실에서 나와 그가 기거하는 사천으로 가기 위한 바닷가로 나갔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 해운대의 겨울, 사람 없는 바닷가를 거닐며 기나긴 얘기 듣고 싶어요.≪안정효, 하얀 전쟁≫
- 이상한 여행, 쓸쓸한 이 바닷가, 이곳에서 만나야 했던 임 선생님, 내가 왜 여길 왔지?≪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바/바(15세기)>바/바(17세기)>바다/바ㅎ(18세기)>바닷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닷가’는 ‘바다’와 ‘가’의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 ‘바다’는 15세기에 ‘바ㅎ’과 ‘바다ㅎ’으로 쓰였고 16세기에는 ‘바라ㅎ’도 쓰였다. 이 단어는 현대 국어로 오면서 ‘바다’로 쓰이는 경향이 짙어졌고, ‘갓’은 받침 ‘ㅅ’이 탈락한 ‘가’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갓’도 일부 지역어에서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바, 바, 바, 바, 바다ㅎ, 바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바닷가 개는 호랑이 무서운 줄 모른다
- 겪어 보지 않았거나 어리석어서 사리에 어두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련한 송아지 백정을 모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