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ː레

- 품사
- 「명사」
- 「001」내일의 다음 날.
- 모레부터 방학이다.
- 내일 아니면 늦어도 모레까지 그곳에 가마.
- 모레쯤이면 그 일을 어느 정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다.
- 나는 비로소 가정부가 다녀간 것은 오늘 아침이었다는 것, 그녀는 모레까지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떠올리고 일어나 앉았다.≪오정희, 적료≫
- 저것 봐, 물건이 또 들어왔다. 우리의 느낌이 맞는다면 내일도 모레도 물건이 계속해서 들어올 거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하루만 같이 돌아 주면 경도 시내의 지리를 대강 알 수 있을 테니까 모레부턴 나 혼자 나설게.≪이병주, 지리산≫
- 다름 아니고 내일이나 모래쯤 저 잠깐 서울 좀 다녀오도록 허락해 주십시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내일-모레(來日모레), 명-후일(明後日), 재-명일(再明日)
- 참고 어휘
- 익익-일(翌翌日)
- 지역어(방언)
- 모리(경상, 전라, 제주, 충청, 중국 길림성), 모루(전북, 평안, 중국 요령성), 모룰(전북), 모릿-날(제주), 몰레(충남)
- 옛말
- 모뢰
역사 정보
모뢰(16세기)>모(17세기~18세기)>모릐(18세기)>모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레’의 옛말인 ‘모뢰’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2세기에 편찬된 ≪계림유사≫에는 ‘모레’와 관련하여 “後日曰母魯”, 즉 ‘*모로’로 나타난 바 있다. 16세기의 ‘모뢰’는 이 ‘모로’에서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에 제1음절과 제2음절에 동일 모음 ‘ㅗ’가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2음절의 모음 ‘ㅚ’가 ‘ㆎ’로 변하면서 ‘모’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함에 따라 ‘모’도 ‘모릐’가 되었는데 문헌상으로는 18세기에 확인된다. 19세기에 들어와 이중 모음 ‘ㅢ’가 ‘ㅔ’로 변하여 ‘모레’가 되면서 현대 국어에 이르렀다. 19세기에는 ‘모레’와 함께 ‘모래’도 나타나는데 ‘모래’는 17세기부터 존재했던 ‘모’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19세기에 ‘ㅔ’와 ‘ㅐ’의 구별이 없어져 나타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모, 모뢰, 모릐, 모레, 모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