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며느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아들의 아내를 이르는 말.
며느리와 시어머니는 원래 사이가 안 좋기 마련인데 그 집은 고부 사이가 모녀지간 이상이다.
떡두꺼비 같은 아들 둘을 나란히 낳았으니까 그것만으로도 운암댁은 임씨 가문의 며느리로서 이제 구실을 다한 셈이라고 생각했다.≪윤흥길, 완장≫
모레가 우리 집 며느리 맞는 날이랍니다.≪오정희, 적료≫
장진호 집에서는 순심이를 며느리로 맞기로 하고 중매쟁이를 넣어 제대로 사성이 오갔다.≪송기숙, 녹두 장군≫
어머니가 양현을 며느리로 삼으려 하시는데, 그게 가능할까?≪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며느리(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며느리’와 동일한 형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5세기에는 ‘며느리’와 함께 ‘며’ 형태가 나타나고, 16세기~19세기 문헌에는 ‘며리’ 형태도 나타났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며느리’ 형태만 남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며이, 며느리, 며늘, 며늘이, 며리, 며나리, 며날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며느리, 며)
아바님 니샤 뉘  야 며이 외야 오리야 ≪1447 월곡 14ㄱ
사회 녀긔셔 며느리 녁 지블 婚이라 니고 며느리 녀긔셔 사회 녁 지블 姻이라 니니 ≪1447 석상 6:16ㄴ
16세기 : (며느리, 며늘, 며늘이, 며리)
읫 혼인 의론호매 몬져 그 사회와 며느리의 텬과 뎍과 가무네 례법이 엇던고 야 피고 ≪1518 번소 7:32ㄱ
싀어버이를 셤교 장 며늘의 道 어덧더니 ≪1588 소언 6:59ㄱ
초 보롬애 뎨와 며늘이들히 堂 알애셔 절홈을 고 ≪1588 소언 5:73ㄱ
겨집 유슌며 싀어미 어엿비 너기고 며리 들옴이 禮니라 ≪1588 소언 2:74ㄱ
17세기 : (며느리, 며리)
豚養媳婦 민며느리1690 역해 상:41ㄴ
며리 처엄 와실 제 치고 子식은 어려신 제 치라 ≪1632 가언 2:23ㄱ
18세기 : (며느리, 며리)
아과 며느리 孝도리와 공경니 父母 舅姑 命을 거스리디 말며 ≪어내 1:41ㄴ
오 됴흔 날이니 내 며리 즉시 려가 잔 쟝만여 ≪1703 삼역 1:3ㄴ
19세기 : (며리, 며나리)
역 식과 며리가 나의 이 글을 보고 화야 효와 슌 며리 아니되  금슈로 더부러 엇지 다르리오 ≪1876 남궁 5ㄴ
그 시어미 계헌 지 십여 년인 며나리 항샹 부억의셔 즁얼거리고 ≪1881 조군 18ㄱ
관련 정보 ‘며리’가 ‘며’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며느리’ 역시 기원적으로는 ‘며늘’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관용구·속담(10)

속담며느리가 미우면 발뒤축이 달걀 같다고 나무란다
미운 사람에 대해서 공연히 트집을 잡아 억지로 허물을 지어낸다는 말.
속담며느리가 미우면 손자까지 밉다
어떤 사람이 미우면 그에 딸린 사람까지도 밉게 보인다는 말. <동의 속담> ‘중이 미우면 가사(袈裟)도 밉다
속담며느리 늙어 시어미 된다
과거에 남의 아래에서 겪던 고생은 생각지도 않고 도리어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대함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며느리 자라 시어미 되니 시어미 티를 더 잘한다
속담며느리 보자 손자 본다
기쁜 일이 겹쳐 일어난다는 말.
속담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사위 사랑은 장모
흔히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서 귀염을 받고, 사위는 장모에게 더 사랑을 받는다는 말. <동의 속담> ‘사위 사랑은 장모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장모는 사위가 곰보라도 예뻐하고 시아버지는 며느리가 뻐드렁니에 애꾸라도 예뻐한다
속담며느리 상청에서도 떡웃지짐이 제일
죽은 며느리를 위하여 베푸는 상청에서도 떡 위에 놓여 있는 지짐이에 신경을 쓴다는 뜻으로, 먹는 데만 정신이 팔리어 체면 차리지 않고 맛있는 것만 골라 먹는다는 말.
속담며느리 샘에 발꿈치 희어진다
여자가 참을성 없고 투기가 아주 심함을 이르는 말.
속담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
흔히 아들이 첩을 얻는 것은 좋아하면서도 제 남편이 첩을 얻어 시앗을 보게 되면 못 견디어 한다는 말.
속담며느리 아이 낳는 건 봐도 딸 애 낳는 건 못 본다
아이를 낳는 고생스러움은 보기에 매우 안타깝다는 말.
속담며느리 자라 시어미 되니 시어미 티를 더 잘한다
과거에 남의 아래에서 겪던 고생은 생각지도 않고 도리어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대함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며느리 늙어 시어미 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