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뚤타발음 듣기]
활용
뚫어[뚜러발음 듣기], 뚫으니[뚜르니발음 듣기], 뚫는[뚤른발음 듣기], 뚫소[뚤쏘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을】
「001」구멍을 내다.
송곳으로 판자에 구멍을 뚫다.
그는 기민한 동작으로 부엌 안을 확인했고, 신당의 문에 구멍을 뚫어 샅샅이 살폈다.≪조정래, 태백산맥≫
그는 곁에 놓인 작살로 얼음에 구멍을 뚫은 뒤에 저고리를 벗어 던지고 세수를 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역사 정보

듧다(15세기~17세기)>둛다(17세기~19세기)>다(17세기~18세기)>다(19세기)>뚫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뚫다’의 옛말인 ‘듧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듧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듧-’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들우-’나 ‘들오-’로 나타나는 ㅂ 불규칙 용언이었다. 17세기 이후 ‘듧다’의 제1음절 모음 ‘ㅡ’가 ‘ㅜ’로 변화된 ‘둛다’로 나타난다. 같은 시기에 ‘둛다’의 제1음절 초성 ‘ㄷ’이 된소리화된 ‘다’도 나타나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우-’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다’의 종성 ‘ㄼ’이 ‘ㅀ’로 변화한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 ‘뚫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둘오-’는 ‘둛-’이 모음 앞에 나타난 형태로 볼 수도 있으나, 17세기에서야 ‘둛-’의 예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단순한 표기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16세기의 ‘오-’는 ‘듧-’이 모음 앞에 나타난 ‘들오-’의 제1음절 모음 ‘ㅡ’를 ‘ㆍ’로 표기한 것이다. 17세기의 ‘-’은 ‘-’의 종성 ‘ㄼ’이 ‘ㄹ’로 단순화되어 재구조화된 어간으로 볼 수도 있고,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종성의 자음군 ‘ㅀ’에서 ‘ㅎ’이 탈락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17세기에 ‘-’과 어미 ‘-디’의 결합이 ‘티’가 아니라 ‘디’로 나타는 점과 19세기에 ‘-, 르-’가 나타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전자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의 ‘-, 르-’는 ‘-’ 혹은 ‘-’에서 종성의 자음군 ‘ㄼ’ 혹은 ‘ㅀ’이 단순화되어 나타난 형태이다. 19세기의 ‘뚧-’은 ‘-’의 초성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듧-, 들우-, 둘오-, 들오-, 오-, 둛-, -, -, 우-, -, 르-, -, 뚧-, 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듧-, 들우-, 둘오-)
해 구무 듧고  지여 온 모 무두매 當얀 어루 모미 외녀 ≪1463 법화 6:154ㄴ
가온  구무 들워 몬져 낛 긴헤 오 ≪1466 구방 상:48ㄴ
기 둘온  버리  흘롓고 ≪1481 두시-초 14:9ㄴ
16세기 : (듧-, 들우-, 오-, 들오-)
남글 듧디 아니면 디 몯니라 ≪1510년대 번박 상:14ㄱ
 우희 무롭 다핫던 히 다 들워 디옛더라 ≪1518 번소 10:22ㄴ
穿 들올 쳔 ≪1576 신합 하:46ㄴ
穿 올 쳔 ≪1527 훈몽 하:9ㄱ
17세기 : (듧-, 들우-, 들오-, 둛-, -, -, 우-, -)
리 금빈혜나 옥빈혀 긋티나 가져 바 구무 이실  보와 어 듧고1608 언태 69ㄴ
나못 거프를 들우며 서근  디구메 부우리 무딀 니 ≪1632 두시-중 17:6ㄱ
들올 쳔 穿 ≪1664 유합-칠 28ㄴ
긔 알해 죠고만 구멍을 둛고1608 언두 상:8ㄴ
남글 디 아니면 디 아닌다 ≪1677 박언 상:14ㄱ
藥 심 굼우 둘히 밋 이시니 臨時예 으라1685 화포 17ㄱ
檄木으로 굼글 막고 인야 檄木을 워 심 글 글고 ≪1685 화포 12ㄴ
안 드러와 동녁 집 뎌 편에 굼글 고1677 박언 하:52ㄴ
람 굼글 고1721 오륜전비 1:21ㄱ-21ㄴ
18세기 : (다)
칠찰을 와  힘이라도 젹이 이신 연후에야 ≪1746 자성 내:31ㄱ
19세기 : (둛-, -, 르-, -, -, 뚧-, 뚤-)
둛다 鑿 ≪1880 한불 504
다 르다1880 한불 504
타 穿 ≪1895 국한 87
흘 어 못슬 만드시 부 깁고 너르도록 시며 ≪1852 태상 4:2ㄴ-3ㄱ
져 편 바람벽을 코 셔 편 시 가희 노히니 ≪1852 태상 4:24ㄱ
우리 뚧고 들어가 양의 목을 물어 ≪1892 성직 5:45ㄴ
물방울이 오래도록 자조 떠러지면 오히려 능히 돌흘 깁히 뚤으거든1892 성직 5:71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