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뚤타

- 활용
- 뚫어[뚜러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
- 「001」구멍을 내다.
- 송곳으로 판자에 구멍을 뚫다.
- 그는 기민한 동작으로 부엌 안을 확인했고, 신당의 문에 구멍을 뚫어 샅샅이 살폈다.≪조정래, 태백산맥≫
- 그는 곁에 놓인 작살로 얼음에 구멍을 뚫은 뒤에 저고리를 벗어 던지고 세수를 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듧다(15세기~17세기)>둛다(17세기~19세기)>다(17세기~18세기)>다(19세기)>뚫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뚫다’의 옛말인 ‘듧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듧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듧-’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들우-’나 ‘들오-’로 나타나는 ㅂ 불규칙 용언이었다. 17세기 이후 ‘듧다’의 제1음절 모음 ‘ㅡ’가 ‘ㅜ’로 변화된 ‘둛다’로 나타난다. 같은 시기에 ‘둛다’의 제1음절 초성 ‘ㄷ’이 된소리화된 ‘다’도 나타나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우-’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다’의 종성 ‘ㄼ’이 ‘ㅀ’로 변화한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 ‘뚫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둘오-’는 ‘둛-’이 모음 앞에 나타난 형태로 볼 수도 있으나, 17세기에서야 ‘둛-’의 예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단순한 표기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16세기의 ‘오-’는 ‘듧-’이 모음 앞에 나타난 ‘들오-’의 제1음절 모음 ‘ㅡ’를 ‘ㆍ’로 표기한 것이다. 17세기의 ‘-’은 ‘-’의 종성 ‘ㄼ’이 ‘ㄹ’로 단순화되어 재구조화된 어간으로 볼 수도 있고,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종성의 자음군 ‘ㅀ’에서 ‘ㅎ’이 탈락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17세기에 ‘-’과 어미 ‘-디’의 결합이 ‘티’가 아니라 ‘디’로 나타는 점과 19세기에 ‘-, 르-’가 나타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전자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의 ‘-, 르-’는 ‘-’ 혹은 ‘-’에서 종성의 자음군 ‘ㄼ’ 혹은 ‘ㅀ’이 단순화되어 나타난 형태이다. 19세기의 ‘뚧-’은 ‘-’의 초성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듧-, 들우-, 둘오-, 들오-, 오-, 둛-, -, -, 우-, -, 르-, -, 뚧-, 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