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눈씨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눈언저리의 속눈썹이 난 곳.
눈시울을 적시다.
눈시울이 뜨거워지다.
눈시울을 붉히다.
눈시울에 눈물이 어리다.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말에 눈시울이 화끈하여 눈물이 펑펑 쏟아졌다.
그러자 이 뜨거워지는 눈시울 속에서 눈앞의 저수지가 철철 넘치는 광경이 떠올랐다.≪황순원, 카인의 후예≫
거꾸로 사람을 일터로 내보내는 쪽은 모처럼 당해 오는 이별이 안타까워 눈시울까지 적셔 가며 쉽사리 발길을 돌이키지 못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탄력이 있고 강인한 느낌을 주는 여자였다. 눈썹이 짙고 눈시울도 길고 짙었다.≪박경리, 토지≫
욱이의 푹 꺼진 눈시울에 눈물이 젖었다.≪오영수, 비오리≫

역사 정보

시울(15세기)>눈시울(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눈시울’의 옛말인 ‘시울’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시울’은 ‘눈’과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한 ‘’과 “가장자리”의 의미인 ‘시울’이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17세기에는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지 않은 ‘눈시울’이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시울’은 관형격 조사를 ‘ㄷ’으로 표기한 것이다. 16세기의 ‘눈시올’, 17세기의 ‘눈시욹’이 나타나는데, 이들의 변화 과정은 설명하기 어렵다.
이형태/이표기 시울, 시울, 눈시올, 눈시욹, 눈시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시울, 시울)
시우를 여디게  가 새게 드리 라노라 ≪1481 두시-초 13:1ㄴ
머리 구즈기 셰오 시우 뮈우디 아니야 ≪1472 몽법 24ㄴ
16세기 : (눈시올, 시울)
눈시올 쳡 ≪1527 훈몽 상:13ㄱ
머리 구즈기 셰오 시우 뮈우디 아니야 ≪1517 몽산-고 19ㄱ
17세기 : (눈시욹, 눈시울)
눈이 븕고 눈시욹이 뒤여디면 기 잘고 ≪17세기 마경 상:5ㄱ
눈시울이 브어 뒤여디며 눈초리 고기예 블근 거시 얼의며 ≪17세기 마경 상:98ㄴ
18세기 : (눈시울, 눈시욹)
眼邊 눈시울1790 몽해 상:12ㄱ
말을 면 머리털이 숙구러며 각매 눈시욹이 여질지라 ≪1777 명의 권수하어제윤음:1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