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거여목]
- 활용
- 거여목만[거여몽만]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Medicago polymorpha
- 「001」콩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이다. 봄에 노란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용수철 모양의 협과(莢果)를 맺으며 거름, 목초로 쓰인다. 유럽 원산의 귀화 식물로 들에 자라는데 경남, 전남, 제주, 평북,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역사 정보
게여목(15세기~17세기)>거여목(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거여목’의 옛말인 ‘게여목’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게여목’의 제1음절 모음 ‘ㅔ’는 이중 모음 [əy]였는데 제2음절의 이중 모음 ‘ㅕ’에도 반모음 ‘ㅣ’[y]가 연속되어 반모음 ‘ㅣ’가 하나 탈락하여 ‘거여목’이 된 것이다. 17세기에 ‘게여목’과 ‘거여목’이 공존하다가 이후 ‘거여목’이 세력을 확장하여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17세기의 ‘게목’은 제2음절의 단모음 ‘ㅓ’가 탈락한 형태이며, 19세기의 ‘거어목’은 반모음 ‘ㅣ’가 완전히 탈락한 형태로 추정된다. 16세기에는 ‘게유목’, 17세기에는 ‘거유목, 게오목’ 18세기에는 ‘거유목’ 등 제2음절의 모음이 ‘ㅗ/ㅜ’ 계열인 형태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게여목, 거여목, 거어목, 게유목, 거유목, 게오목, 게목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