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ː마

- 품사
- 「명사」
- 「003」‘천연두’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마마를 앓았는지 얼굴이 얽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큰-마누래(강원, 함경), 마누라(제주, 황해), 큰-마누라(제주), 큰-한집(제주), 한-굿(제주), 한-집(제주), 항-것(제주), 항긋(제주), 호명(제주), 호명-정구(제주), 마누래(평안, 함남, 황해), 마누래-벵(함남)
역사 정보
마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마’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관용구마마 그릇되듯
- 좋지 않은 징조가 보임을 이르는 말.
- 관용구마마 손님 배송하듯
- 행여나 가지 아니할까 염려하여 그저 달래고 얼러서 잘 보내기만 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