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절ː다발음 듣기]
활용
절어[저러발음 듣기], 저니[저ː니발음 듣기], 저오[저ː오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001」푸성귀나 생선 따위에 소금기나 식초, 설탕 따위가 배어들다.
배추가 소금에 절다.
오이가 식초에 절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젿다(18세기)>절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절다’의 옛말 ‘젿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젿-’는 ‘ㄷ’ 불규칙 용언으로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ㄷ’이 ‘ㄹ’로 변한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ㄷ’이 유지되나 근대 국어 표기에서 이런 경우 종성 ‘ㄷ’은 ‘ㅅ’으로 적힌다. 19세기 이후 ‘ㅈ’의 경구개음화가 완료된 후 ‘졀’은 ‘절’과 동일한 소리를 표기하게 되어 ‘졀다’는 현대 국어 ‘절다’와 같은 이표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현대 국어 ‘절다’는 불규칙 용언이 아니라 ‘ㄹ’을 어간 말음으로 갖는 규칙 용언이다.
이형태/이표기 졀다, 졋다, 절다
세기별 용례
18세기 : ((졀다, 졋다))
油辣 졀어 알근다 ≪1775 역보 32ㄱ
油辣 졋다 霾了 곰탕쓰다 ≪1790 몽해 상:48ㄴ
19세기 : ((절다))
마쵸 저려 로 지나 다 절거든 졍이 서 독을 뭇고 ≪1869 규합 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