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버티다

- 활용
- 버티어[버티어


- 품사
- 「동사」
- 「001」어려운 일이나 외부의 압력을 참고 견디다.
- 그는 갖은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오지에서 한 달 동안 버텨 냈다.
- 그는 결혼을 하지 않고 마흔 살까지 버텼다.
- 일 년 내내 바바리코트 하나만으로 버텨 온 자신의 가난을 생각하고 그녀는 잠시 웃음을 띠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 이것은 오로지 도인들이 그 추위를 무릅쓰고 열흘을 넘겨 버텨 낸 끈기와 여러 두령들께서 합심 협력하여 노력해 주신 결과입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 하루하루 눈칫밥을 먹으며 버텨 나가고 있을 무렵 종세는 마침내 마카오 할아버지에게 발각되고 말았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배기다
- 지역어(방언)
- 버팅기다(강원, 경북, 전라), 버치다(경기, 충청,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버구다(경남), 뻐대다(경북), 뻐치다(경상, 중국 흑룡강성), 버트다(전남), 바투다(제주), 바튀다(제주), 지쎄다(함남), 번치다(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바퇴다
역사 정보
바퇴오다(15세기)>벗틔다(17세기~19세기)>버틔다(18세기~19세기)>버티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버티다’의 옛말인 ‘바퇴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7세기에 ‘바퇴오다, 버튀오다, 버튀우다, 벗틔다, 벗티다’ 등 다양한 모습으로 쓰였는데 이 중 ‘-오-’나 ‘-우-’가 생략된 형태인 ‘벗틔다’와 ‘벗티다’가 18세기와 19세기에 ‘버틔다’의 형태로 쓰였고 이 형태가 19세기에 단모음화를 경험하여 현대 국어의 ‘버티다’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바퇴오다, 버튀오다, 버튀우다, 벗틔다, 벗티다, 벗퇴다, 버틔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