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프다

- 활용
- 아파[아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몸의 어느 부분이 다치거나 맞거나 자극을 받아 괴로움을 느끼다.
- 손바닥을 아프게 때리다.
- 칼에 벤 자리가 아프다.
- 매 맞은 자리가 아프다.
- 바늘에 찔려 아프다.
- 돌부리를 걷어차 발이 아프다.
관련 어휘
- 옛말
- 알다
역사 정보
알다(15세기~18세기)>알프다(16세기~19세기)>아다(17세기)/아프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프다’의 옛말인 ‘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알다’는 동사 ‘앓-’에 형용사파생접미사 ‘--’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알다’도 ‘알프다’로 변화하였다. 근대국어 시기에는 ‘알다, 알프다’에서 제1음절의 종성 ㄹ이 탈락하여 ‘아다, 아프다’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아다’는 17세기, 현대 국어와 같은 ‘아프다’는 18세기에 나타난다. ‘ㅍ’ 앞에서 ‘ㄹ’이 탈락한 이유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국어사에서 이와 같은 현상을 보이는 예는 ‘알다’ 이외에도 ‘골다’가 ‘고다’가 된 것이나 ‘앒’이 ‘앞’으로 변한 것 등이 존재한다. 16세기~19세기 문헌에는 여러 이표기가 보이는데 ‘앏다, 앏프다, 압프다’는 각각 ‘알다, 알프다, 아프다’의 ‘ㅍ’을 ‘ㅂ’과 ‘ㅍ’으로 두 번 적은 중철 표기이며, ‘압흐다, 앏흐다’ 등은 ‘ㅍ’을 ‘ㅂ’과 ‘ㅎ’으로 나누어 적은 재음소화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알다, 앏프다, 알프다, 압프다, 압흐다, 아프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아픈 곳을[데를] 건드리다[찌르다]
- 상대방의 약점이나 허점을 말하거나 지적하다.
- 너는 어쩌면 그렇게 남의 아픈 곳을 건드리니.
- 그녀가 자신의 아픈 데를 건드리자 그는 화가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