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붇ː따발음 듣기]
활용
부어[부어], 부으니[부으니], 붓는[분ː는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1」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
얼굴이 붓다.
병으로 간이 붓다.
울어서 눈이 붓다.
다리가 통통 붓다.
벌에 쏘인 자리가 붓다.
편도선이 부어서 말하기가 어렵다.
나는 중얼거리며 정말 죽기로 결심을 했다는 듯 퉁퉁 부어 다물어지지 않는 입술을 억지로 붙였다.≪김원일, 노을≫
날이 밝자 나는 손가락들이 퉁퉁 부어 있는 것을 보았다.≪유재용, 성역≫
다른 사람이 면회를 끝내고 나올 동안 오랜만에 포승이 풀린 손을 만져본다. 시퍼렇게 부어 있다.≪이정환, 샛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븟다(15세기~17세기)>붓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붓다’의 옛말인 ‘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븟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븟-’으로,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나타나 ‘븟-/-’의 교체를 보였다. 16세기 이후로 ‘ㅿ’이 사라져 ‘브니, 브’ 등이 ‘브으니, 브어’로 변화함에 따라 이 단어는 ‘븟-/브-’의 이형태 교체를 하는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17세기에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 ‘븟다’는 ‘붓다’로 변화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븟-, -, 브-, 븓-, 붓-, 부-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븟-, -)
오날 두 나랏 예 허튀 긷티 븟고 바리 알 길흘 몯 녀리로소다 ≪1459 월석 8:94ㄱ
 더 내 더러우며 모딘 腫氣 고롬과  브며 숨 힐후 重病이 다  模範이 類로 제 블론 젼라 ≪1463 법화 7:186ㄴ
水腫은 브 씨오 乾痟 라 목 씨라 ≪1463 법화 2:169ㄴ
목 안히 과리 브  ≪1489 구간 목록:2ㄴ
16세기 : (브-)
쇼와  뎐염병 처엄 시작 제 모매 죠고매나 브으미 잇거 ≪1541 우마 8ㄱ
17세기 : (븟-, 븓-, 브-, 붓-, 부-)
식  겨집이 다엿 애 니르러 온 몸이 븟고  브르고 쳔급면 닐운 죵이니 ≪1608 언태 40ㄱ
신시  칼을 갓다가 손락을 그처 피 입의 븓고 ≪1617 동신속 열2:85ㄴ≫
믈 돌 제 눈이 마고 브어 디 몯거든 ≪1608 언두 하:32ㄴ
역질이 슌 쟈 셔 어제붓터 붓 긔운이 이셔 ≪17세기 두경 39ㄱ
진규산은 이 비위독으로 입시울이 부어 헌  고티니라 ≪17세기 마경 하:106ㄴ
18세기 : (브-, 붓-, 부-)
腫脹 브어 오르다 ≪1790 몽해 보:24ㄱ
腫了 붓다1748 동해 하:7ㄴ
보야흐로 입안 춤이 이시며 업슴과 喉間이 부으며 붓디 아녀심을 보라 ≪1792 무원 3:79ㄱ≫
만일 이 死人이 生前에 毒을 닙어실띤댄 그 屍 곳 부어 脹고 口內 黑고 ≪1792 무원 3:54ㄱ≫
19세기 : (붓-, 부-)
붓다 浮腫 ≪1880 한불 25
을  이 부어 큰 종긔 되야 슈일만의 크기 잔만 야 ≪1881 조군 16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