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복따발음 듣기]
활용
볶아[보까발음 듣기], 볶으니[보끄니발음 듣기], 볶는[봉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음식이나 음식의 재료를 물기가 거의 없거나 적은 상태로 열을 가하여 이리저리 자주 저으면서 익히다.
깨를 볶다.
부엌에선 올케가 솥뚜껑을 뒤집어 놓고 쌀을 볶고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번철에다 고추장을 섞어 벌겋게 볶고 있는 고래 고기가 맛 좋은 냄새를 피우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부엌에선 올케가 솥뚜껑을 뒤집어 놓고 쌀을 볶고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어머니는 혀를 끌끌 차더니 생채 나물 곱게 썰고, 당면 볶고, 이탈리아 쌀 씻어 밥을 했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볶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볶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봇-’으로, 그 외의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나 ‘봇-/볷-’의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는 어간말 자음 ‘ㅺ’이 ‘ㄲ’으로 바뀐 ‘볶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다, 볶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焦煎은 봇 씨라 ≪1459 월석 1 서:4ㄱ
소곰 져기 녀허 머구머 며 시혹 소고 봇가 브티라 ≪1466 구방 상:65ㄴ
 너무 봇디 말오 ≪1466 구방 상:72ㄱ
16세기 : (다)
녑발치 조츤 고기를 사다가 편 굵게 사라 봇가 오라 ≪1510년대 번노 상:21ㄱ
봇글 오 炒 봇글 쵸 煿 봇글 박 ≪1527 훈몽 하:6ㄴ
우리 버듸 에 나 야 제 고기 봇게 라 나 高麗ㅅ 사미라 다 고기 봇기 아디 모로노라 ≪1510년대 번노 상:21ㄱㄴ
17세기 : (다, 볶다)
소곰과 솓 믿 검듸영을 믈에 섯거 잠 봇가 블에   이면 럅기 즉제 긋니라 ≪1608 언두 하:10ㄱ
뎡가 이삭을 잠 봇고 당귀과 티 야  라 ≪1608 언태 39ㄱ
초  사발애  닉게 복가 부은 고 븟티라 ≪17세기 마언 하:111ㄱ≫
우리 네 사의게 셜흔 낫 돈엣 羊肉을 복고 스므 낫 돈엣 燒餠을 가져 오라 ≪1670 노언 상:55ㄴ
18세기 : (볶다)
져기 소곰 두고 져로다가 뒤저어 복가 반만 닉거든 져기 쟝믈을 버므리고 ≪1763 노신 1:27ㄱ
或 點心  후에  들고 고기 복고1795 노언-중 하:50ㄱ
19세기 : (볶다)
밀기울  말을 누르게 복고 콩 닷 되 복가 거피야 가지로 작말야 ≪1869 규합 6ㄴ

다중 매체 정보(1)

  • 볶다
    볶다

    볶다

관용구·속담(4)

속담볶은 콩도 골라 먹는다
볶은 콩을 먹을 때에 처음에는 골라 먹다가 나중에는 잘고 나쁜 것까지 다 먹는다는 뜻으로, 여러 물건을 다 쓸 바에는 골라 가며 쓸 필요가 없건만 그래도 골라 가며 쓰는 사람의 본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볶은 콩 먹기
그만 먹겠다고 하면서도 결국은 다 먹어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볶은 콩에 꽃이 피랴
불에다 볶은 콩은 싹이 날 리가 없다는 뜻으로, 아주 가망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볶은 콩에 싹이 날까
속담볶은 콩에 싹이 날까
불에다 볶은 콩은 싹이 날 리가 없다는 뜻으로, 아주 가망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볶은 콩에 꽃이 피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