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묻

- 활용
- 뭍이[무치



- 품사
- 「명사」
- 「001」지구의 표면에서 바다를 뺀 나머지 부분.
- 뭍에 오르다.
- 그는 도리 없이 뭍에 오른 물고기 신세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아침 안개를 뚫고 배는 천천히 뭍으로 다가간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 여섯 시간 만에야 배는 뭍에 닿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 돌아보니 부사의 배는 꽤 하류까지 흘러 내려가서 그 근처의 뭍에 대려고 삿대질들을 하는 모양이었다.≪김동인, 대수양≫
- 상여는 강을 건너고 뭍에 이르러 잠시 쉬었다가는 어둑어둑한 산모퉁이를 멀어져 갔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무섭고 겁이 나서 창황히 배를 버리고 뭍으로 기어오른다.≪박종화, 임진왜란≫
- 물은 온통 이틀이 지나서야 다 빠졌다. 거북들이 다시금 뭍으로 변한 것이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개펄이 뭍으로 변함과 동시에 두 저수지의 물을 터서 개펄의 염분부터 우려내자는 공사였다.≪이문구, 해벽≫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뭇(강원, 경상, 전북, 제주), 문덩(평북)
역사 정보
뭍(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뭍’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계속 쓰이는 단어이다. 18세기에 모음 어미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등 8개의 자음으로 받침을 쓰는 규칙인 8종성법에 의하여 ‘뭇’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큰 흐름에서 보면 이 단어는 형태 변화 없이 현재까지 꾸준히 쓰이고 있고 볼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뭍, 묻, 믓, 뭇, 뭇ㅎ, 믓ㅎ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