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묻발음 듣기]
활용
뭍이[무치발음 듣기], 뭍을[무틀발음 듣기], 뭍만[문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지구의 표면에서 바다를 뺀 나머지 부분.
뭍에 오르다.
그는 도리 없이 뭍에 오른 물고기 신세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아침 안개를 뚫고 배는 천천히 뭍으로 다가간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여섯 시간 만에야 배는 뭍에 닿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돌아보니 부사의 배는 꽤 하류까지 흘러 내려가서 그 근처의 뭍에 대려고 삿대질들을 하는 모양이었다.≪김동인, 대수양≫
상여는 강을 건너고 뭍에 이르러 잠시 쉬었다가는 어둑어둑한 산모퉁이를 멀어져 갔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무섭고 겁이 나서 창황히 배를 버리고 뭍으로 기어오른다.≪박종화, 임진왜란≫
물은 온통 이틀이 지나서야 다 빠졌다. 거북들이 다시금 뭍으로 변한 것이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개펄이 뭍으로 변함과 동시에 두 저수지의 물을 터서 개펄의 염분부터 우려내자는 공사였다.≪이문구, 해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뭍(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뭍’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계속 쓰이는 단어이다. 18세기에 모음 어미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등 8개의 자음으로 받침을 쓰는 규칙인 8종성법에 의하여 ‘뭇’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큰 흐름에서 보면 이 단어는 형태 변화 없이 현재까지 꾸준히 쓰이고 있고 볼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뭍, 묻, 믓, 뭇, 뭇ㅎ, 믓ㅎ
세기별 용례
15세기 : (뭍)
미 부러 竹林國으로 지불여늘 무틔 올아 오 예 ≪1459 월석 8:101ㄴ
16세기 : (뭍)
 믈에셔 조차 나고 무틔 니디 몯야 모로매 술위로 시르며 ≪1510년대 번노 하:44ㄴ-46ㄱ
17세기 : (뭍)
무틔 올아 將次ㅅ 길 나아가니 ≪1632 두시-중 8:53ㄴ
18세기 : (뭇)
 이 길로 온다 로 왓노라 ≪1765 박신 2:21ㄴ
旱路 길 水路 물 길 ≪1775 역보 5ㄱ

관용구·속담(2)

속담뭍에서 배 부린다
육지에서 배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될 수 없는 일을 하고 있음을 비꼬는 말.
속담뭍에 오른 고기
제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처지에 몰린 사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물 밖에 난 고기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부분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육상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