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탕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물체의 뼈대나 틀을 이루는 부분.
서림이가 승교 바탕이 오기를 기다리고 조바심을 하는 중에….≪홍명희, 임꺽정≫
때때로 청량리로 나가고 들어오는 전차 바퀴의 바탕에 스르릉 하고 갈리는 소리가 처량하게도 동대문 밖 고요한 공기를 울린다.≪나도향, 환희≫
환하게 모란꽃같이 화려하게 잘 생긴 얼굴 바탕은 어리고 젊어서부터 이미 상감의 가슴속에 깊숙이 사랑의 화살을 박아 왔던 귀인이라,….≪박종화, 임진왜란≫
성큼한 키에 그러잖아도 바탕이 고운 얼굴이….≪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버텅(전남)

역사 정보

바(15세기~16세기)>바탕(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탕’의 옛말인 ‘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ㆁ’은 16세기까지 쓰이다가 17세기에는 쓰이지 않는데 ‘바’도 15, 16세기에 쓰이다가 17세기부터는 ‘바탕’으로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바탕, 밧탕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바)
場 道理 닷 바이오 ≪1482 금삼 서:6ㄱ
16세기 : (바)
바이 너므 기니 네 나 나와 뎌르게 야 ≪1510년대 번박 상:18ㄴ
17세기 : (바탕)
바탕이라(一場) 욘 조초로 므더니 녀기다 ≪1657 어록-초 7ㄱ
18세기 : (바탕)
바탕이 너무 기다 뎐 메온 金이 언머 分兩고 ≪1765 박신 1:21ㄴ
19세기 : (밧탕, 바탕)
밧탕 질 質 ≪1895 국한 134
일노조차 진복의 바탕을 사마다 샹  가온대 보존야 ≪1892 성직 6:35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