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리다발음 듣기]
활용
가리어[가리어발음 듣기/가리여발음 듣기](가려[가려]), 가리니[가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3」여럿 가운데서 하나를 구별하여 고르다.
우승 팀을 가리다.
이 글에서 잘못된 문장을 가려서 바르게 고치시오.
그는 돈을 버는 일이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강 차석은 남자 어른만 가려서도 그 얼굴과 이름을 맞춰 일일이 기억할 수 없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흥, 얻어먹으러 다니는 사람이, 자리를 가려서야 되나?” 하고 건배는 소매를 걷으며 젓가락을 집는다.≪심훈, 상록수≫
아흔 고개를 바라보는 노령에도 공술이라면 원근을 가리지 않고 찾아다니는 것이다.≪김춘복, 쌈짓골≫
웃음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이를테면 문학적으로 건강한 구석이 있기는 하다.≪이호철, 소시민≫
어디서 났는지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태극기를 하나씩 들고 목청이 터져라 만세를 부르고 있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희다(17세기~19세기)>이다(18세기~19세기)>리다(18세기)>가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리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였는데 이중 모음 ‘ㆎ’도 ‘ㅢ’로 변하였다. 이러한 변화가 ‘다’에서도 일어나 제2음절 ‘’가 ‘희’로 변했는데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17세기부터이다. 한편 근대 국어 후기에 ‘ㄹ’과 모음 사이에 있는 ‘ㅎ’이 탈락하고 이중 모음 ‘ㅢ’가 단모음화하여 18세기에 ‘이다’로 나타나게 되었다. 18세기에 ‘이다’와 함께 ‘리다’가 공존하였는데 ‘리다’는 ‘ㅎ’이 탈락하면서 연철 표기 된 것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는 ‘ㆍ’의 제2차 소실이 일어났는데 ‘리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가리다’가 되었다. ‘가리다’가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19세기부터인데 ‘다, 희다’ 등이 19세기까지 공존하였다. 20세기 이후 ‘가리다’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희다, 희다, 다, 이다, 리다, 가리다, 회다, 갈이다, 갈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류 잘  伎女 五百 야 서르 라 뫼게 시니 ≪1447 석상 3:5ㄱ
16세기 : (다, 다, 리다)
뎌 뎜이 곧 瓦店이니 조흔 뎜 여 브려셔 즘 쉬우져 ≪1510년대 번노 상:17ㄱ
누 왼 올 일 야 보라 주시고 귀 왼올 일 야 드르라 주시고 ≪1569 칠대 10ㄴ
17세기 : (다, 희다)
다가 몬져 콩을 주면 그 이 다만 콩만 여 먹고 딥플다가 다 헤텨 리니라 ≪1670 노언 상:22ㄱ
水深  求여 葬디니 곰 可히 아니 희디 몯 배라 ≪1632 가언 7:16ㄱ
18세기 : (다, 희다, 이다, 리다)
이  최립이라  도적이 니러나 모든 관원의 안 모라다가 얼골 고으니 디라1797 오륜 열:47ㄴ
迂儒ㅣ 軍旅의 일에 호디 못엿노니 오직 將軍은 희여 쇼셔 ≪1721 오륜전비 8:28ㄴ
親子ㅣ어나 兄弟 ㅣ或 어려셔부터 호여 나 긔지야 알고져 나 진딧과 거즛슬 이기 어렵거든 ≪1792 무원 3:92ㄴ≫
中間에 반을 려 내여 가져가 ≪1795 노언-중 하:51ㄱ
19세기 : (다, 희다, 회다, 갈의다, 가리다, 갈이다)
문하의 글과 호반  이 스무 사 여  가랴 호 ≪1832 십구 2:56ㄴ
이에 어질고 능 이 희여 조대로 일을 맛겨 경영시고 ≪1865 주년 68ㄱ
이제 텬쥬와 물의 나흘 회고져 진대 ≪1892 성직 7:43ㄱ
슌량 아젼을 갈의여  모 민을 기르 ≪1882 유팔도윤음 2ㄱ
다만 그 손가락 을 仔細이 보아 손톱을 르게 베혀  뭇지 아니 만 갈이여 다 니 이 商估 엇지 그리 하얏뇨 ≪1896 심상 1:20ㄱ
동리에셔 던 일과 던 말을 삼고야 션불션을 가리여 내게 말라 ≪1894 천로 상:100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