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떨리다

- 활용
- 떨리어[떨리어


- 품사
- 「동사」
- 「001」몹시 추워지거나 두려워지다. ‘떨다’의 피동사.
- 감기로 몸이 떨리다.
- 나는 추위에 온몸이 떨렸다.
역사 정보
리다(17세기~18세기)>리다(18세기~19세기)>떨리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떨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리다’는 동사 ‘떨다’에 피동 접미사 ‘-리-’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고 초성의 ‘ㅳ’이 된소리로 바뀌어 ‘리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된소리를 표기할 때 ㅅ계 합용 병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ㄷ’의 된소리가 ‘ㅼ’으로 표기된 것이다. ‘리다’의 예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지만, ‘러디다’가 ‘러디다’로 된 것이나 ‘티다’가 ‘티다’로 변한 것이 이미 17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리다’ 역시 17세기부터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리다’의 예가 18세기에도 보이기는 하지만 이는 표기의 보수성으로 인한 것일 뿐 그 소리는 ‘리다’와 동일한 ‘ㄷ’의 된소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떨리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다’와 ‘떨다’는 된소리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 소리는 동일하다. 한편 18, 19세기 문헌에는 ‘니다, 떨니다’가 나타나는데 이는 ‘리다, 떨리다’의 이표기로, 근대 국어 표기법의 특징 중 하나인 모음 사이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리다, 리다, 니다, 떨니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