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떨리다발음 듣기]
활용
떨리어[떨리어발음 듣기/떨리여발음 듣기](떨려[떨려]), 떨리니[떨리니]
품사
「동사」
「001」몹시 추워지거나 두려워지다. ‘떨다’의 피동사.
감기로 몸이 떨리다.
나는 추위에 온몸이 떨렸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떨-기다(함북)
옛말
리다

역사 정보

리다(17세기~18세기)>리다(18세기~19세기)>떨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떨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리다’는 동사 ‘떨다’에 피동 접미사 ‘-리-’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고 초성의 ‘ㅳ’이 된소리로 바뀌어 ‘리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된소리를 표기할 때 ㅅ계 합용 병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ㄷ’의 된소리가 ‘ㅼ’으로 표기된 것이다. ‘리다’의 예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지만, ‘러디다’가 ‘러디다’로 된 것이나 ‘티다’가 ‘티다’로 변한 것이 이미 17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리다’ 역시 17세기부터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리다’의 예가 18세기에도 보이기는 하지만 이는 표기의 보수성으로 인한 것일 뿐 그 소리는 ‘리다’와 동일한 ‘ㄷ’의 된소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떨리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다’와 ‘떨다’는 된소리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 소리는 동일하다. 한편 18, 19세기 문헌에는 ‘니다, 떨니다’가 나타나는데 이는 ‘리다, 떨리다’의 이표기로, 근대 국어 표기법의 특징 중 하나인 모음 사이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리다, 리다, 니다, 떨니다
세기별 용례
17세기 : (리다)
내 오 골치 앏파 머리 어즐고 몸이 려 당티 못니 范太醫 請여 와 뵈라 ≪1677 박언 중:14ㄴ
18세기 : (리다, 리다, 니다)
肉跳  리다 ≪1775 역해-보 33ㄴ≫
打戰 通稱 다 肉戰  리다1748 동해 하:7ㄱ
내 오 마리 알프고 골치 어즐고 몸이 려 견지 못니 ≪1765 박신 2:23ㄴ
 업듸여 빈텽의 리오신 교 보오니 신이 심담이 다 니여 하리 합연고져 오 엇디 못리로소이다 ≪1756 천의 1:31ㄴ
19세기 : (니다, 떨니다)
니다 戰慓 ≪1880 한불 471
연이 이 슬프고 앏하야 담이 떨니고 졍신이 희미야 ≪1892 성직 55ㄴ
소 드매 놀나고 떨녀 무러  쥬여 뉘시니잇고 ≪1865 주년 73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