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팓발음 듣기]
활용
팥이[파치발음 듣기], 팥을[파틀발음 듣기], 팥만[판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학명
Phaseolus angularis
「001」콩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 쪽 겹잎인데 잔잎은 달걀 모양으로 뾰족하다. 여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가늘고 둥근 통 모양의 긴 꼬투리에 4~15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유용한 잡곡이다. 인도가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널리 분포한다.

역사 정보

(15세기)/(15세기~19세기)>(18세기)>팥(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팥’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은 단독으로 실현될 때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어간말의 ‘ㄱ’이 탈락한 ‘’으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나타나 ‘/’의 교체를 보였다. ‘’ 역시 단독으로 실현될 때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나타났으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나타나 ‘/’의 교체를 보였다. 따라서 단독으로 쓰이거나 자음 조사 앞에 나타난 ‘’이 ‘’인지 ‘’인지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16세기 이후의 문헌에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 또는 이를 중철 표기한 ‘ㅊ’의 예만 보이고 ‘’의 예는 보이지 않으므로 근대국어 이후에는 ‘’ 형태만이 남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가 일어나면서 이를 의식하여 모음 조사 앞에 나타난 ‘’의 ‘ㅊ’을 ‘ㅌ’에서 변화한 것으로 오해하고 어간말 자음을 ‘ㅌ’으로 과도교정하는 일이 일어났는데,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ㅌ’이 바로 그 예이다. 이와 함께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현대 국어와 같은 ‘팥’이 되었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는 어간말 자음이 ‘ㅊ’인 ‘팣’의 예가 19세기까지도 나타났으며, 현대 국어에서도 표준어는 아니지만 ‘팥’을 ‘팣’ 또는 ‘팟’으로 발음하는 경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 , , ㅊ, ㅌ, 팟, 팟ㅊ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
 매 마 瘡 고튜  로니 시버 알  브티면 됴니라 ≪1466 구방 하:21ㄴ
알 藥이 업거든 블근  되  봇가 믈 서 되 달혀 두 되 외어든 란 앗고 汁을 시 야 머그면 胎衣 즉재 나니라 ≪1466 구방 하:88ㄴ
爲小豆 ≪1446 훈해 56
밀흘 과 섯거 글혀 딛게 야 그 汁을 마시면 즉자히 나니 ≪1466 구방 하:92ㄴ
16세기 : (, )
 冬至ㅅ 나래 블근 로 粥 수어 머그면 모딘 을 업게 니라 ≪1525 간벽 19ㄱ
두 菽  슉 ≪1527 훈몽 상:7ㄱ
17세기 : (ㅊ, )
 븕근  달혀 머기라 ≪1608 언태 62ㄱ
블근 과 거믄 콩과 녹두 각  되 ≪1608 언두 상:8ㄱ
18세기 : (, ㅌ)
小豆 1748 동해 하:3ㄱ
나흔 닐오 조히라 고 나흔 닐오 티라 거 ≪1758 종덕 하:58ㄴ
19세기 : (, 팟, 팟ㅊ)
거피 에 범우려 복고 ≪1869 규합 13ㄴ
불근 赤豆 ≪1868 의종 부여:36ㄱ
복근 팟츨 둡거이 린 후 ≪1869 규합 13ㄱ

다중 매체 정보(1)

  • 팥

관용구·속담(4)

속담팥으로 메주를 쑨대도 곧이듣는다
지나치게 남의 말을 무조건 믿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팥을 콩이라 해도 곧이듣는다
속담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대 끝에서 대가 나고 싸리 끝에서 싸리가 난다’ ‘대나무에서 대 난다’ ‘대나무 그루에선 대나무가 난다’ ‘대 뿌리에서 대가 난다’ ‘배나무에 배 열리지 감 안 열린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오이씨에서 오이 나오고 콩에서 콩 나온다’ ‘왕대밭에 왕대 난다’ ‘콩 날 데 콩 나고 팥 날 데 팥 난다’ ‘콩에서 콩 나고 팥에서 팥 난다
속담팥을 콩이라 해도 곧이듣는다
지나치게 남의 말을 무조건 믿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팥으로 메주를 쑨대도 곧이듣는다
속담팥이 풀어져도 솥 안에 있다
손해를 본 것 같지만 따지고 보면 손해를 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마 안의 팥이 풀어져도 그 안에 있다’ ‘죽이 풀려도 솥 안에 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