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온ː몸

- 품사
- 「명사」
- 「001」몸 전체.
- 온몸을 동여매다.
- 온몸이 꽁꽁 얼다.
- 온몸이 나른하다.
- 온몸이 쑤시다.
- 온몸에 냄새가 배다.
- 술기운이 온몸으로 퍼지다.
- 골키퍼는 상대 팀의 슛을 온몸으로 막아 냈다.
- 동생은 어디서 맞았는지 온몸이 상처투성이였다.
- 남자의 목소리를 듣는 순간, 만우 씨는 온몸에 소름이 돋는 기분이었다.≪조성기, 우리 시대의 소설가≫
- 나는 온몸을 꼬면서 몸을 비틀었다. 그래도 어느 누구 내게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나는 시종 수줍은 듯한 감정과 향수 같은 감정을 범벅으로 느끼며 온몸과 마음이 안온하게 젖어드는 것이었는데, 한구석엔 웬 감미로운 아픔도 섞여 있었다.≪이호철, 소시민≫
- 그는 필사적으로 머리를 모았다. 간신히 전화번호가 기억되었다. 전화 신청을 하고 도석은 의자에 앉았다. 온몸에서 비 오듯 땀이 흐르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만신(滿身), 사지-백체(四肢百體), 사지-육체(四肢六體), 신체발부(身體髮膚), 일신(一身), 자두지족(自頭至足), 자정지종(自頂至踵), 전구(全軀), 전신(全身), 전신-만신(全身滿身), 정종모발(頂踵毛髮), 혼신(渾身)
- 지역어(방언)
- 왼-몸(전라, 충청), 외-몸(충북), 오분-몸(함북)
- 옛말
- 오-몸
역사 정보
오몸(15세기~16세기)>온몸(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온몸’의 옛말 ‘오몸’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몸’은 형용사 ‘오-’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한 ‘오’과 명사 ‘몸’의 연쇄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오몸’은 16세기 문헌까지 나타난다. 17세기부터는 제2음절의 ‘ㆍ’가 탈락한 ‘온몸’이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오몸, 온몸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속담온몸에 입이 돌라붙었더라도 할 말이 없겠다
- ‘입이 광주리만 해도 말 못 한다’의 북한 속담.
- 속담온몸의 힘줄이 용대기 뒤 줄이 되었다
- 온몸의 힘줄이 임금이 거둥할 때 들고 나가는 용대기의 뒤 벌이줄처럼 팽팽하다는 뜻으로, 사람이 극도로 흥분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온몸이 입이라도 말 못 하겠다
- 잘못이 명백히 드러나 변명의 여지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입이 광주리만 해도 말 못 한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입이 열둘이라도 말 못 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