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시-집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시집발음 듣기]
활용
시집만[시짐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남편의 부모가 사는 집. 또는 그 부모의 집안.
시집 식구.
시집에 아이를 맡기다.
나는 결혼 전에 시집에 인사를 드리러 갔다.
그녀는 남편이 유학 생활을 하는 동안 시집에서 살았다.
우리 부부는 결혼 후에 시집으로 들어가 살기로 했다.
그러나 그렇게 마음을 먹긴 했지만, 막상 시집에 가서 보따리를 싸려고 드니, 설움 같은 것이 앞을 가려 견딜 수가 없었다.≪하근찬, 야호≫
손에 손을 잡고 저 같은 놀이를 즐기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시집에 와서 다섯 살 난 애가 있는 것이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그러나 시집은 내 마음으로만 갈 수는 없는 것이니, 남편 될 사람이 옥련에게 장가들겠다는 허락이 있어야 하겠소.≪이인직, 모란봉≫
계집애는 굶겨 죽인 걸로 하고 아들만 데리고 시집으로 돌아온 며느리는 자식을 버린 죄를 받을 것 같은 두려움에서 헤어나지 못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싀집(16세기~17세기)>시집(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시집’의 옛말인 ‘싀집’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싀집’은 “남편의”의 뜻을 가진 ‘싀-’와 ‘집’이 결합된 것이다. ‘믭다’가 ‘밉다’로 된 것과 같이 근대 국어 시기에 ‘ㅢ’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싀-’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시-’가 되었다.
현대 국어의 ‘시집’은 “시부모가 사는 집 또는 남편의 집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시집(을) 가다’에서는 “혼인하다”의 의미로 쓰인다. 16세기~19세기의 ‘싀집, 시집’도 이러한 두 가지의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싀집, 시집
세기별 용례
16세기 : ((싀집))
아기업고 도망야 싀집의 가 여러을 도라오디 아니더니 ≪1581 속삼-중 열:10ㄱ
안근의게 싀집 가 ≪1581 속삼-중 열:17ㄱ
17세기 : ((싀집))
송시 아기 업고 도망야 싀지븨 가 ≪1617 동속 열:2ㄴ≫
18세기 : ((싀집, 시집))
싀집의 가져갈 물을 고 ≪1737 여사 2:15ㄴ
시집이 이셔 일홈을 산집이라 니라 ≪1758 종덕 하:12ㄱ
19세기 : ((싀집, 시집))
셔울노 와 싀집 일가 슉모되 ≪1895 치명 59ㄱ
시집 媤家 ≪1895 국한 196

관용구·속담(5)

속담시집도 가기 전에 기저귀[강아지/포대기] 마련한다
일을 너무 일찍 서두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집도 아니 가서 포대기 장만한다’ ‘아이도 낳기 전에 포대기[기저귀] 장만한다[누빈다]
속담시집도 아니 가서 포대기 장만한다
일을 너무 일찍 서두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집도 가기 전에 기저귀[강아지/포대기] 마련한다’ ‘아이도 낳기 전에 포대기[기저귀] 장만한다[누빈다]
속담시집 밥은 살이[겉 살이] 찌고 친정 밥은 뼈 살이 찐다
시집살이하기보다 친정에서 사는 것이 훨씬 편하고 수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시집 안 보내고 호박이라고 혼자 늙힐가
여자는 시집갈 나이가 되면 제때에 보내야 한다는 말.
속담시집 울타리 귀신이 되어야 한다
여자는 한번 시집을 가면 무슨 일이 있어도 시집에서 끝까지 살아가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죽어도 시집 울타리 밑에서 죽어라’ ‘죽어도 시집의 귀신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