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ː기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모깃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모기에 물리다.
- 모기에 물려 가려운 곳을 긁다.
- 넓은 마당에 보릿대 모깃불이 연기를 내뿜으며 꾸역꾸역 타고 있다. 모기를 쫓기 위해 놓은 불이지만 연기가 너무 심해서 모기보다 사람이 더 견디기 고약하다.≪홍성원, 육이오≫
- 모기 한 마리가 어둠 속에서 드러난 엉덩이에 붙었고, 그는 그 모기를 철썩 때려잡았다.≪한승원, 해일≫
- 영숙은 모기라도 무는지 탁 어깨를 때리며 나지막이 말했다.≪최인호, 지구인≫
- 입맛을 다시며 모기에 물린 팔뚝을 긁고 있는데 밖에서 누구 없느냐는 소리가 들려온다.≪박경리, 토지≫
- 모기 녀석들이 날아와 내 몸을 뜯어내고, 견딜 수 없는 괴로움이 다가와서 나는 그만 소리 질렀다.≪최인호, 두레박을 올려라≫
- 모기 한 마리가 귓가를 맴돌았다. 을생은 손을 들어 모기를 쫓는다.≪한수산, 유민≫
- 모기들이 덤벼들기 시작할 터인데도 그 아이는 그랬다.≪한승원, 해일≫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알랭이
- 지역어(방언)
- 머개이(강원, 경상, 중국 흑룡강성), 머구이(강원), 모개(강원, 경북), 모개이(강원, 경상, 충북), 모갱이(강원, 경상, 충북), 모구(강원, 경상, 전남, 평안), 모기이(강원), 모괭(경기), 며기(경남), 모게이(경북), 모겡이(경북), 머갱이(경상), 머구(경상), 머기(경상), 무구(전남), 모고(전북), 모귀(함북)
- 옛말
- 모
역사 정보
모(15세기~17세기)>모긔(16세기~19세기)>모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기’의 옛말인 ‘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에는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이른바 ‘ㆍ’의 제1단계 소실에 따라 ‘모’가 ‘모긔’로 변화하였다. 문헌상으로는 19세기까지도 ‘모긔’ 형태만이 나타나는데,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현대 국어의 ‘모기’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모, 모긔, 모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7)
- 속담모기 다리에서 피 뺀다
-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서 금품을 뜯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벼룩의 간을[선지를] 내먹는다’ ‘참새 앞정강이를 긁어 먹는다’
- 속담모기 다리의 피만 하다
- 분량이 아주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모기 대가리에 골을 내랴
- 불가능한 일을 하려는 경우를 비웃는 말.
- 속담모기도 낯짝이 있지
- 염치없고 뻔뻔스러움을 이르는 말.
- 속담모기도 모이면 천둥소리 난다
- 보잘것없이 작고 약한 것이라도 많이 모이면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말.
- 속담모기 밑구멍에 당나귀 신(腎)이 당할까
- 작은 구멍에 큰 물건이 부당하다는 말.
- 속담모기 보고 칼[환도] 빼기[뽑기]
- 시시한 일로 소란을 피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중을 보고 칼을 뽑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