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머리꼬리]
품사
「명사」
「001」땋은 머리의 꼬리.
오남이는 머리꼬리를 제치고, 어린애를 뒤로 받아 업는다.≪이기영, 진통기≫

관련 어휘

옛말
마릿-리

역사 정보

마릿리/머릿리(15세기)>머리꼬리(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머리꼬리'의 옛말인 '마릿리'와 '머릿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마릿리'는 "머리"의 의미인 '마리'와 관형격 조사 'ᄉ'이 결합한 '마릿'에 "꼬리"의 의미인 '리'가 결합한 것이다. '머릿리'는 '머리'와 관형격 조사 'ᄉ'이 결합한 '머릿'과 "꼬리"의 의미인 '리'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를 지나면서 "머리"의 의미를 지니는 단어로는 '머리'만이 남았으며, 된소리 표기인 'ᄭ'도 'ᄁ'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20세기에는 관형격 조사 'ᄉ'이 개재되지 않은 형태인 '머리꼬리'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마릿리, 머릿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마릿리, 머릿리)
 産生 겨지븨 제 마릿리 이베 너혀 吐케 면 胎衣 즉자히 리니라 ≪1466 구방 하:92ㄱ
 産生 겨지븨 제 머릿리 이베 녀허 吐면 胎衣 즉자히 리니라 ≪1466 구방 하:97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