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맏추다

- 활용
- 맞추어[맏추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에】【…을 (…과)】
-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목적어로 온다))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 문짝을 문틀에 맞추다.
- 떨어져 나간 조각들을 제자리에 잘 맞춘 다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였더니 새것 같았다.
- 깨진 조각을 본체와 맞추어 붙이다.
- 나는 이 많은 부품 중에서 이것을 무엇과 맞추어야 하는지 막막하기만 했다.
- 분해했던 부품들을 다시 맞추다.
- 그는 부러진 네 가닥의 뼈를 잡고 그것을 맞추기 시작했다.≪김성일, 비워 둔 자리≫
- 수영은 그 종이의 구김살을 풀어서 조각을 맞추어 보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맞쿠다(경기), 마귀다(평북, 함경), 마기우다(함북)
- 옛말
- 마초오다
역사 정보
마초다(15세기~19세기)>마추다(19세기)>맞추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맞추다’의 옛말인 ‘마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마초다’는 동사 ‘맞-’에 사동 접미사 ‘-호-’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문헌에 보이는 ‘맛초다’는 ‘마초다’를 중철 표기 한 것이다. 19세기에는 모음 ‘ㅗ’가 ‘ㅜ’로 바뀐 ‘마추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이를 중철 표기 한 ‘맛추다’도 나타난다.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맞추다’도 등장하였는데, 이는 ‘맛추다’와 소리는 동일하나 어근인 ‘맞-’을 의식하여 원형을 밝혀 적은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마초다, 맛초다, 마추다, 맛추다, 맞추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