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떧떠타다발음 듣기]
활용
떳떳하여[떧떠타여발음 듣기](떳떳해[떧떠태발음 듣기]), 떳떳하니[떧떠타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굽힐 것이 없이 당당하다.
무엇 하나 잘못한 것 없는 떳떳한 사람.
떳떳하게 행동하다.
나는 평생 누구에게도 구차한 소리 한 번 하지 않고 떳떳하게 살아왔다.
야간부 학교를 다니면서 낮에는 신문 배달이나 행상이나 급사 노릇을 했습니다. 저는 정말 고향의 누구에게나 떳떳했습니다. 그만큼 최대한으로 노력을 했으니까요.≪황석영, 섬섬옥수≫
그가 신부의 주선으로 새로운 집으로 양자로 입양될 때부터 그는 마침내 자신의 이름 앞에 떳떳하게 내세울 수는 있는 성씨 하나를 물려받을 수 있게 되었다.≪최인호, 지구인≫
남접은 동학 교리상의 명분으로도 이렇게 떳떳했으므로 목소리가 높을 수밖에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그처럼 부정한 방법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떳떳치 못한 일이요.≪서기원, 마록 열전≫
종상이는 어제 밤새도록 잠을 못 자고 생각을 거듭한 끝에 내린 결단인지라 한결 떳떳하고 늠름하게 말했다.≪박완서, 미망≫
배달수는 비록 살상을 많이 한 대가로 자유의 몸이 되기는 하였으나 어렵게 얻은 그 자유가 조금도 떳떳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문순태, 피아골≫
사람은 밭 갈고 나무하고 글 읽고 장사하는 등 떳떳한 일을 하고 사는 것이 원칙입니다.≪한용운, 흑풍≫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덛덛다(15세기~18세기)>덧덧다(17세기~19세기)>다(18세기~19세기)>떳떳하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떳떳하다’의 옛말인 ‘덛덛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덛덛다’는 어근 ‘덛덛’과 ‘--’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음절말 위치에서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의 혼란이 생겨 17세기에는 종성이 ‘ㅅ’으로 적힌 ‘덧덧다’가 나타났다. 18세기에는 ‘덧덧’이 된소리로 바뀐 ‘떧떧다, 다’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고, 현대 국어에서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떳떳하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 ‘덛덛다>덧덧다>다’는 “늘 그러하다, 변함없이 같다”의 의미를 지녀서 현대 국어 ‘떳떳하다’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형태/이표기 덛덛다, 덧덧다, 떧떧다, 다, 떠떳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덛덛다)
世尊하 우리히 이제 二障애  괴외며 덛덛 心性 아디 몯호 브테니 ≪1461 능엄 1:94ㄴ
阿難아 風性이 體 업서 動淨이 덛덛디 아니니 ≪1461 능엄 3:82ㄴ
16세기 : (덛덛다)
처믜  각며 말기 모로매 실 도라보아 며 덛덛 덕글 모로매 구디 자브며 ≪1518 번소 8:17ㄱ
17세기 : (덛덛다, 덧덧다)
가난코 病호미 진실로 그 덛덛 이리니 가멸며 貴호 내 이 生애 므던히 너기노라 ≪1632 두시-중 6:48ㄱ
사의 덧덧 도리라 ≪1658 경민-중 23ㄱ
18세기 : (덛덛다, 덧덧다, 떧떧다, 다)
대개 才德의 덛덛홈과 다 邪正의 辯을 아디 몯라 ≪1737 여사 4:70ㄴ
남은 목숨으로  임의 인의의 졍도 분변티 못고  덧덧 인뉸을 아디 못디라 ≪1761 경문 11ㄱ
 일은 自古로 떧떧온 일이오니 어이 닏올고 ≪1790 인어 4:26ㄴ
三寸 긔운이 이시매 千가지 잇더니 一日에 홈이 업스매 萬事ㅣ 休다 홈이로다 ≪1765 박신 3:44ㄴ
19세기 : (덧덧다, 다, 떠떳하다)
덧덧다 常 ≪18880 한불 472
어룬은 몬져 고 어리니 뒤 믄  법이오  도리어 엇지야 금셰의 댱유가 법이 업고 ≪1884 오륜경 8ㄱ≫
떠떳하다 庸常 ≪1895 국한 7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