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떧떠타다

- 활용
- 떳떳하여[떧떠타여



- 품사
- 「형용사」
- 「001」굽힐 것이 없이 당당하다.
- 무엇 하나 잘못한 것 없는 떳떳한 사람.
- 떳떳하게 행동하다.
- 나는 평생 누구에게도 구차한 소리 한 번 하지 않고 떳떳하게 살아왔다.
- 야간부 학교를 다니면서 낮에는 신문 배달이나 행상이나 급사 노릇을 했습니다. 저는 정말 고향의 누구에게나 떳떳했습니다. 그만큼 최대한으로 노력을 했으니까요.≪황석영, 섬섬옥수≫
- 그가 신부의 주선으로 새로운 집으로 양자로 입양될 때부터 그는 마침내 자신의 이름 앞에 떳떳하게 내세울 수는 있는 성씨 하나를 물려받을 수 있게 되었다.≪최인호, 지구인≫
- 남접은 동학 교리상의 명분으로도 이렇게 떳떳했으므로 목소리가 높을 수밖에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 그처럼 부정한 방법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떳떳치 못한 일이요.≪서기원, 마록 열전≫
- 종상이는 어제 밤새도록 잠을 못 자고 생각을 거듭한 끝에 내린 결단인지라 한결 떳떳하고 늠름하게 말했다.≪박완서, 미망≫
- 배달수는 비록 살상을 많이 한 대가로 자유의 몸이 되기는 하였으나 어렵게 얻은 그 자유가 조금도 떳떳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문순태, 피아골≫
- 사람은 밭 갈고 나무하고 글 읽고 장사하는 등 떳떳한 일을 하고 사는 것이 원칙입니다.≪한용운, 흑풍≫
역사 정보
덛덛다(15세기~18세기)>덧덧다(17세기~19세기)>다(18세기~19세기)>떳떳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떳떳하다’의 옛말인 ‘덛덛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덛덛다’는 어근 ‘덛덛’과 ‘--’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음절말 위치에서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의 혼란이 생겨 17세기에는 종성이 ‘ㅅ’으로 적힌 ‘덧덧다’가 나타났다. 18세기에는 ‘덧덧’이 된소리로 바뀐 ‘떧떧다, 다’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고, 현대 국어에서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떳떳하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 ‘덛덛다>덧덧다>다’는 “늘 그러하다, 변함없이 같다”의 의미를 지녀서 현대 국어 ‘떳떳하다’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덛덛다, 덧덧다, 떧떧다, 다, 떠떳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