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받침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언어』
「003」한글을 적을 때 모음 글자 아래에 받쳐 적는 자음자. ‘밖’, ‘칡’에서 ‘ㄲ’, ‘ㄺ’ 따위이다.
동생은 받침을 빼 놓고 글씨를 쓰곤 했다.
아이들은 받아쓰기에서 ‘ㄷ’과 ‘ㅌ’ 받침을 잘 틀렸다.
‘가’에다 ‘ㄱ’하면 ‘각’하고, ‘나’에다 ‘ㄴ’하면 ‘난’하고……그런 식으로 받침을 익혀 가다가….≪한수산, 유민≫
그것은 이 단어에 세 번이나 겹친 순음의 작용도 있겠지만, 마지막 ‘ㅁ’ 받침이 단어의 뜻과 더욱 잘 부합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았다.≪이청준, 퇴원≫
받침을 붙이는 것이 좀 어려웠으나, 그것도 한 줄을 배워 보니 여개방차였다.≪이기영, 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밧침(18세기~19세기)>받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받침’의 옛말인 ‘밧침’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받치다’에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8종성 받침 규정에 따라 ‘받치다’의 받침 ‘ㄷ’이 ‘ㅅ’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초 현대 맞춤법이 확산되면서 다시 받침이 ‘ㅅ’에서 ‘ㄷ’으로 회복되어 현재의 어형이 정착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밧침
세기별 용례
18세기 : (밧침)
烙板 인도 밧침 션반 ≪酉部方言25b≫
19세기 : (밧침)
밧침 ≪한불308≫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자음상위어본말/준말꼬릿소리종자음비슷한말참고 어휘쌍받침겹받침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받침
위로